커피 가격 인상과 그 배경

커피 가격 인상과 그 배경

1. 어딘가 익숙한 경제 뉴스

한줄요약: 커피 가격 인상과 그 배경
*타임라인을 클릭하면 이동/재생됩니다.
시간 요약
00:34 최근 컴포즈 커피 가격이 1,500원에서 1,800원으로 인상됨. 이는 커피 가격 상승의 시작점으로 여겨짐.
01:50 커피 가격 인상은 단순한 300원 인상이 아님. 지속적인 상승이 우려됨.
02:37 저가 커피 브랜드들은 접근성이 중요함. 가격 인상 시 고객 이탈이 우려됨.
03:50 커피 가격 인상의 배경은 커피콩 생산 문제와 지구 온난화로 인한 기후 변화임.
04:50 브라질과 베트남의 기후 변화로 커피콩 작황이 나빠짐. 이로 인해 가격 상승이 불가피함.
05:22 커피콩 사재기 현상이 발생하고 있음. 부유층이 커피콩을 쟁여두고 있음.
06:34 커피 소비량이 급증하는 나라가 생기고 있음. 한류의 영향으로 커피 수요가 증가함.
07:36 10년간 유지된 가격이었으나, 이제 저가 커피 브랜드도 가격 인상이 불가피함.
08:06 앞으로 커피콩이 사치품이 될 가능성이 있음. 가격 인상이 계속될 것으로 예상됨.
08:36 동서식품도 원두 가격 상승으로 인해 가격 인상을 예고함.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2. 스크립트

오늘의 주제는 호로로로로로 커피입니다. 최근에 저는 실험만 먹고 있습니다. 그래서 아메리카노를 마시고 있는데, 슬픈 소식이죠. 사실 좋은 소식은 아닌 것 같아요. 컴포즈 커피의 가격이 올랐대요. 아메리카노가 여기 지금 보시다시피 1,500원으로 되어 있잖아요.

그런데 이번에 300원 올려서 1,800원으로 가격을 올렸다고 합니다. 사실 그러실 수도 있어요.

2.1. 최근 컴포즈 커피 가격이 1,500원에서 1,800원으로 인상됨. 이는 커피 가격 상승의 시작점으로 여겨짐.

최근 컴포즈 커피 가격이 1,500원에서 1,800원으로 인상됨. 이는 커피 가격 상승의 시작점으로 여겨짐.
Fig.1 - 최근 컴포즈 커피 가격이 1,500원에서 1,800원으로 인상됨. 이는 커피 가격 상승의 시작점으로 여겨짐.

'아이, 300원 뭐, 그 뭐 얼마 되지도 않는 걸로 뭐 뉴스야?' 이러실 수도 있는데, 사실 이게 엄청난 변화의 어떤 시작점이라고 봐야 한다고 얘기들을 하시더라고요. 뭐냐면 앞으로의 커피값이 남은 커피값 중에 제일 싼 커피값일 수 있습니다. 앞으로의 커피값 중에 가장 저렴한 커피값일 수 있다는 무시무시한 얘기의 시작입니다.. 컴포즈 커피가 1,500원으로 커피 가격을 유지한 게 무려 10년 정도가 된대요. 굉장한 거라고 생각해요. 저는 왜냐하면 우리나라에서 웬만한 것들의 물가가 두 배, 세 배가 된 지 약 10년 가량, 정말 오랜 기간을 1,500원으로 유지했다는 거예요. 그런데 그 300원을 올렸대요. 왜 문제가 되는 거냐면, 적각 커피지아 컴포즈 커피는 사실 적각 커피의 3대장 정도 되는 브랜드거든요.

그런데 여기에서 가격을 올렸다는 건 앞으로 줄줄이 인상이 예고된 거나 다름없고, 되게 큰 이유가 스타벅스, 투섬 플레이스, 커피빈 이런 데들 있잖아요. 고가의 브랜드 커피들, 여기들이 오르는 건 우리한테 익숙해요. 얘네는 실제로 많이 올려요. 자주 올립니다.

2.2. 커피 가격 인상은 단순한 300원 인상이 아님. 지속적인 상승이 우려됨.

커피 가격 인상은 단순한 300원 인상이 아님. 지속적인 상승이 우려됨.
Fig.2 - 커피 가격 인상은 단순한 300원 인상이 아님. 지속적인 상승이 우려됨.

가격이 생각보다 좀 다리로 계속 올라왔어요.. 근데 저가 커피는 커피 가격을 잘 못 올립니다. 왜 그런 줄 아세요? 저도 이번에 이거 여러분에게 알려주려고 찾으면서 알게 된 건데, 충성 고객이 없대요. 장사의 모토가 다른 거예요. 스타벅스나 커피빈 같은 고가 브랜드들은 우리 브랜드만을 찾는 고객들이 있어요. 우리 브랜드의 원두를 좋아하고, 우리 브랜드의 커피 매장 분위기를 좋아하는 사람들이 있기 때문에 가격을 올려도 그 충성이 기본 베이스가 돼서 방어를 해 준다는 거죠. 고객 이탈율이 낮은 거예요.. 근데 저가 커피의 경우에는 가격대가 저렴하고 가성비가 좋은 원두를 사용하는 편이고, 가격대가 다 비슷하잖아요.


2.3. 저가 커피 브랜드들은 접근성이 중요함. 가격 인상 시 고객 이탈이 우려됨.

저가 커피 브랜드들은 접근성이 중요함. 가격 인상 시 고객 이탈이 우려됨.
Fig.3 - 저가 커피 브랜드들은 접근성이 중요함. 가격 인상 시 고객 이탈이 우려됨.

솔직히 말하면 저가 커피는 '나는 이 브랜드만 먹어'라는 사람들이 없고, 그냥 동네에 가까운 커피집을 간다는 거예요. 컴포즈가 1,800원으로 오르잖아요. 그러면 '컴포즈 안 가면 되지, 옆에 있는 메가 커피 아직 1,500원인데 메가 커피 가면 되지' 이렇게 된다는 거예요.. 컴포즈, 메가 커피 같은 저가 브랜드들은 커피의 맛도 마시지만, 그거보다 더 우위에 있는 게 1층 가까운 매장 중심 거리에 1층 상가를 차지하는 게 제일 중요하대요. 박리다매로 많이 파는 전략이기 때문에 접근성이 되게 중요하다는 거예요. 마치 우리가 옛날에 파리바게트는 무조건 횡단보도 앞에 위치한다는 것처럼, 저렴한 가격으로 많은 사람들이 만날 수 있는 곳에서 판다 하니까 여기는 가격을 올렸을 때 충성 고객이 없어서 방어가 잘 안 된다는 거예요. 그런데 그런 포즈가 올렸다는 건 정말 피치 못할 사정이 있다는 얘기잖아요.. 그래서 왜 이런 일이 발생했나 보니까, 커피콩이 문제래요.

커피콩이 지금 우리가 생각한 것보다 지구 온난화가 엄청 심각하고 빠른 속도로 광범위하게 영향을 주고 있는데, 우리에게 몸에 와닿는 정말 영향을 주는 것 중에 하나가 여름의 온도도 있겠지만, 두 번째가 바로 이 커피예요. 커피콩이 브라질과 베트남에서 많이 자란대요. 그런데 브라질에 지금 가뭄이 되게 오래 지속되고 있대요. 원래 커피가 잘 자라는 온도가 18도에서 20도 정도의 약간 서늘한 정도의 온도인데, 최근에 10도 이상 올랐다는 거예요. 그러니까 우리나라도 커피를 재배하기에 너무 더워요. 이미 우리는 대잖아요.


2.4. 커피 가격 인상의 배경은 커피콩 생산 문제와 지구 온난화로 인한 기후 변화임.

커피 가격 인상의 배경은 커피콩 생산 문제와 지구 온난화로 인한 기후 변화임.
Fig.4 - 커피 가격 인상의 배경은 커피콩 생산 문제와 지구 온난화로 인한 기후 변화임.

그러다 보니까 커피콩들을 재배할 수 있는 곳이 점점 사라지는 거예요. 그래서 브라질이나 베트남에서도 온도가 막 10도씩 올라가니까 재배가 안 되니까 작황 자체가 엄청나게 나빠졌대요.. 이거 쇼 월드에서 본 것 같아요. 저는 안 봐서 모르겠어요. 저는 경쟁 때문에 안 봐서. 그래서 브라질에 이제 좀 고위 부자들이 있을 거 아니에요. 커피콩이 지금 안 나온다 하니까 무슨 현상이 나타나겠죠? 쟁여 두기를 하는 거예요. 정확해요.

그 브라질 부자들이 막 사재기를 겁나게 하는 거예요. 안 푸는 거예요.

2.5. 브라질과 베트남의 기후 변화로 커피콩 작황이 나빠짐. 이로 인해 가격 상승이 불가피함.

브라질과 베트남의 기후 변화로 커피콩 작황이 나빠짐. 이로 인해 가격 상승이 불가피함.
Fig.5 - 브라질과 베트남의 기후 변화로 커피콩 작황이 나빠짐. 이로 인해 가격 상승이 불가피함.

이 원두들이 이제 안 풀리기 시작하니까 어쩔 수 없이 커피 카페들의 가격이 오르는 거예요. 그래서 지구 온난화가 내가 생각하고 이런 거보다 엄청나게 심각하게 뜨거워지고 있는 거지. 그러니까 내 생각 속에는 솔직히 '나 지구가 뜨거워 봤자지 뭐 어쩔 거야, 에어컨 틀 거야' 막 이런 식으로 했는데, 그게 아니고 진짜 지구가 불타고 있는 수준인 거예요. 뭐 장난이 아닌 거예요.. 그리고 이제 또 하나가 뭐냐면, 차마 내가 이거를 이미지를 보여주지는 못하겠지만, 이거는 약간 어떤 나라가 있어요. 이거 말해도 상관없나? 그 어떤 나라가 있는데, 여기가 원래 차를 되게 즐겨 먹던 나라예요.

2.6. 커피콩 사재기 현상이 발생하고 있음. 부유층이 커피콩을 쟁여두고 있음.

커피콩 사재기 현상이 발생하고 있음. 부유층이 커피콩을 쟁여두고 있음.
Fig.6 - 커피콩 사재기 현상이 발생하고 있음. 부유층이 커피콩을 쟁여두고 있음.

우리는 차를 굉장히 사랑해요. 호짜 호짜 이러면서 막 이렇게 차를 마시던 나라가 있어요. 그런데 그 나라의 시민들이 갑자기 커피 붐이 일어난 거예요. 이게 한류의 풍일 수도 있다고 생각해요. 왜냐하면 한류에서 모든 드라마, 영화, 뭐든지 할류 다 커피 맛이잖아요. 미국도 마찬가지고 미드도 마찬가지고요. 그러다 보니까 그런 문화의 열풍 때문인지 그 나라에서 커피 소비량이 급증을 했대요. 한 1, 2년 사이에 급증을 이렇게 했는데, 이게 너무 무서운 게 뭐냐면 그 나라에서 완전히 커피로 다 돌아선 게 아니에요.

그 나라의 일부가 커피를 마시기 시작했다거나 소비량의 절반만큼 가져간다는 거예요. 거기가 전체 인구가 커피를 마시기 시작한 게 아니고, 그냥 거기에서도 몇 분의 1, 1/5 정도의 사람들이 커피를 시작한 수준인데, 우리나라 인구가 소모하는 커피랑 절반을 지금 그쪽에서 소비를 하기 시작했다는 거예요. 그러니까 마치 우리가 삼겹살을 외국에 알려서 삼겹살 가격이 오르는 것처럼, 지금 커피가 여기저기로 빠져나가기 시작하는데, 엄청난 블랙홀 같은 구멍이 생긴 거예요. 어쩔 수 없이 원두 가격을 지금 감당을 못해내는 상황이 왔다고요.

2.7. 커피 소비량이 급증하는 나라가 생기고 있음. 한류의 영향으로 커피 수요가 증가함.

커피 소비량이 급증하는 나라가 생기고 있음. 한류의 영향으로 커피 수요가 증가함.
Fig.7 - 커피 소비량이 급증하는 나라가 생기고 있음. 한류의 영향으로 커피 수요가 증가함.

그래서 포스가 지금 30,000원을 올렸잖아요. 뭐 메가 커피도 아마 최근에 가격을 올렸을 거예요. 근데 남은 저가 커피 브랜드들도 사실상 가격 인상이 정해진 수순이다. 솔직히 말하면 이제 어쩔 수 없이 다 모두가 해야 된다, 이렇게 좀 생각을 해야 되지 않나? 이런 식으로 되면 커피도 앞으로 자연에서 얻은 커피콩을 섭취하는 것이 정말 사치품이 될 수 있다. 지금은 우리가 사치품 수준까진 아니잖아요? 근데 앞으로는 커피콩이 정말 사치품이 될 수 있다면, 어떻게 될 것 같아요? 당연히 짭이 나오겠죠. 그래서 내 생각에는 제약 회사나 이런 데서 화학 서비스가 가능한 데서 커피의 맛을 그대로 재현해 낸 짝 커피를 만들 것 같은 거예요. 그런 거를 만들어서 굉장히 저가에 풀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 거지. 왜냐하면 이게 지금은 300원 인상, 얼마 안 돼라고 생각하실 수 있겠지만, 과연 언제까지 300원 인상이 계속될까요? 모르죠.

주식은 몰라요. 그런데 동서식품도 인상한다고 하더라고요. 이 원두 가격 오르는 거 때문에.

2.8. 10년간 유지된 가격이었으나, 이제 저가 커피 브랜드도 가격 인상이 불가피함.

10년간 유지된 가격이었으나, 이제 저가 커피 브랜드도 가격 인상이 불가피함.
Fig.8 - 10년간 유지된 가격이었으나, 이제 저가 커피 브랜드도 가격 인상이 불가피함.

아, 근데 저는 럭키 비키라고 해야 되나? 럭키 비키는 뭐냐면, 저는 컴포트 커피를 못 마셔요. 왜냐하면 이상하게 다른 젓가락 커피는 안 그러거든요.

2.9. 앞으로 커피콩이 사치품이 될 가능성이 있음. 가격 인상이 계속될 것으로 예상됨.

앞으로 커피콩이 사치품이 될 가능성이 있음. 가격 인상이 계속될 것으로 예상됨.
Fig.9 - 앞으로 커피콩이 사치품이 될 가능성이 있음. 가격 인상이 계속될 것으로 예상됨.

근데 나는 컴포트 커피 마시면 잠을 못 자요. 예, 그래서 아무튼 가격이 올랐다고 하더라고요. 그래서 럭키 럭키 비키잖아요.

2.10. 동서식품도 원두 가격 상승으로 인해 가격 인상을 예고함.

동서식품도 원두 가격 상승으로 인해 가격 인상을 예고함.
Fig.10 - 동서식품도 원두 가격 상승으로 인해 가격 인상을 예고함.

나는 컴포트를 못 먹잖아요. 어쨌든 물 드십시오. 물이 건강에 그렇게 좋답니다. [음악].


3. 영상정보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댓글 쓰기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