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도쿄에서 프롬퍼스트를 주목하는 진짜 이유

지금 도쿄에서 프롬퍼스트를 주목하는 진짜 이유

1. 지금 도쿄에서 프롬퍼스트를 주목하는 진짜 이유

한줄요약: 지금 도쿄에서 프롬퍼스트를 주목하는 진짜 이유
*타임라인을 클릭하면 이동/재생됩니다.
시간 요약
00:01 아오야마의 프롬 퍼스트는 도쿄 패션의 중심지임.
01:03 하마노 야스 히로요는 라이프스타일 프로듀서로 불림.
02:03 하마노는 도시 공간의 변화를 이끈 선구자임.
02:33 아오야마는 젊은 디자이너들이 태동하던 동네였음.
03:02 하마노는 신진 디자이너들을 전략적으로 유치함.
03:32 하마노는 건물을 플랫폼으로 보는 혁신적 접근법을 제시함.
04:02 프롬 퍼스트는 예술과 기술의 융합을 보여줌.
05:32 프롬 퍼스트는 도시 환경과 유기적 연계를 가능하게 함.
06:33 프롬 퍼스트는 현대 도시 건축의 초석이 됨.
07:02 하마노와 야마시타의 비전은 디지털 시대에도 여전히 유효함.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2. 스크립트

안녕하세요. 오늘은 아오야마의 프롬 퍼스트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2.1. 아오야마의 프롬 퍼스트는 도쿄 패션의 중심지임.

아오야마의 프롬 퍼스트는 도쿄 패션의 중심지임.
Fig.1 - 아오야마의 프롬 퍼스트는 도쿄 패션의 중심지임.

도쿄에서 패션을 이야기할 때 하라주쿠와 오모테산도를 빼놓을 수 없는 핵심 지역인데요. 하라주쿠 센트럴 아파트와 라포의 하라주쿠를 중심으로 발전한 이 지역은 현재 도큐플라자, 라포레 하라주쿠, 오모테산도 힐즈, 아오야마와 네즈 미술관까지 확장되며 도쿄 패션의 중요한 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주목할 점은 미나토구를 대표하는 모리 빌딩이 하라주쿠 개발에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사실인데요. 라포의 하라주쿠, 오모테산도 힐즈 모두 모리 빌딩이 만들었으니까요. 아크 로포이, 아자부다이 힐즈, 도라노몬 힐즈 같은 미나토구 프로젝트로 알려진 모리 빌딩이 하라주쿠에 관심을 가진 이유는 2대 대표 모리 미노루가 직접 이 지역에 거주하며 그 가능성을 발견했기 때문입니다. 그의 개인적 경험과 비전이 오늘날 하라주쿠, 도쿄 패션의 중요한 축으로 성장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고 해도 무방하죠. 하지만 오늘의 주인공은 모리 빌딩이 아닙니다. 바로 하마노 야스 히로요입니다.

그는 일본의 도시 경관을 재창조한 라이프스타일 프로듀서라는 새로운 직업군을 정립한 인물로 불리는데요. 라이프스타일 프로듀서란 건축가, 디자이너, 마케터의 역할을 융합한 개념으로, 도시 공간을 단순한 물리적 구조물이 아닌 삶의 방식을 제안하는 플랫폼으로 재해석합니다. 하마노는 1941년 교토에서 태어나 일본대학 영화 연출학과 시절부터 서브컬처 운동에 주목했습니다. 1960년대 중반 일본은 전후 세대의 정체성 탐구와 함께 청년 문화가 급격히 확산되던 시기였죠.

2.2. 하마노 야스 히로요는 라이프스타일 프로듀서로 불림.

하마노 야스 히로요는 라이프스타일 프로듀서로 불림.
Fig.2 - 하마노 야스 히로요는 라이프스타일 프로듀서로 불림.

그는 잡지 발행과 실험적 상업 시설 기획을 통해 공간과 문화의 상호작용을 탐구하기 시작했습니다. 그의 철학은 환경의 특성을 재해석하여 도시 전체를 기획하는 것인데요. 이 철학적 토대 위에서 그는 디자인, 건축, 브랜딩을 유기적으로 통합한 접근법으로 일본 내 다양한 공간들을 만들었습니다. 무엇보다 그는 일본 사회가 경제적 풍요에 성숙한 소비 문화로 전환하는 추세를 예측하고, 브랜드 철학에 공감하는 소비자층을 위한 차별화된 공간 디자인 전략을 개발했습니다. 로폼 엑시스, 시부야 큐 프론트, 도큐핸즈 브랜드 개발, 파타고니아 시부야와 같은 대표 프로젝트에서는 공간의 서사화와 역사적 맥락의 현대적 재해석이 뚜렷하게 나타납니다. 그는 단순한 시각적 미학을 넘어 도시의 문화적 정체성을 보존하면서도 경제적 활력을 불어넣는 균형 잡힌 도시 기획을 구현했죠. 하마노의 대표작 중 하나는 1970년대에 만들어진 아오야마의 프롬 퍼스트입니다. 프롬 퍼스트는 도시 안에서 사회 문화의 변화를 이끈 상징적 존재가 되었죠.

거주, 업무, 상업 기능이 유기적으로 결합된 미니타운 개념을 도입한 것은 그 당시 다소 생소한 개념이었으며, 현대 도시 건축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고 아오야마의 세계적인 패션과 디자인의 메카로 도약시키는 초석이 되었죠. 그냥 벽돌로 쌓은 건물 같은데 말이죠. 1970년대 아오야마는 낡은 건물들 사이에서 젊은 디자이너와 크리에이터들이 태동하던 소소한 동네였습니다. 이 같은 동네를 개발하기로 한 곳은 탄광으로 기반을 쌓은 탄광 회사 태평양 흥이 있는데요. 그들은 탄광 사업에서 축적한 자본을 도시 재생 사업에 투자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는 에너지 산업의 쇠퇴를 예견한 전략적 선택이었죠.



2.3. 하마노는 도시 공간의 변화를 이끈 선구자임.

하마노는 도시 공간의 변화를 이끈 선구자임.
Fig.3 - 하마노는 도시 공간의 변화를 이끈 선구자임.

태평양 흥은 이 지역의 개발 컨셉을 창조적 노동과 생활의 통합으로 잡았고, 그들은 이곳의 개발을 그 당시 젊은 기획자인 하마노가 만든 하마노 물상 연구소의 설계와 디자인에 맡겼습니다. 프롬 퍼스트의 기획은 아오야마 지역처럼 유행에 민감한 디자이너, 변호사, 의사, 자가 건축가를 위한 거주 공간과 감각적인 상점들이 공존하는 공간이었습니다. 하마노는 그보다 한 걸음 더 나아갑니다. 건물을 건물이 아닌, 건물 안에서 무언가 계속 만들어져야 한다는 플랫폼이라는 개념으로 접근했습니다. 건물 속 공간들의 요소를 모두 콘텐츠로 본 것이죠. 프롬 퍼스트 건물이 이리저리 왔다 갔다 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 이유도 바로 그 때문입니다.

2.4. 아오야마는 젊은 디자이너들이 태동하던 동네였음.

아오야마는 젊은 디자이너들이 태동하던 동네였음.
Fig.4 - 아오야마는 젊은 디자이너들이 태동하던 동네였음.

하마노의 접근법이 혁신적이었던 이유는 건물을 건물이 아닌 플랫폼으로 보는 관점에 있었습니다. 쇠락한 상업 지구였던 아오야마를 창조적 인재들의 집적지로 변모시키기 위해 사람들이 일하고, 놀고, 살 수 있는 복합적 공간을 구성했죠. 지금은 당연하게 여겨지는 직주일체형 공간의 선구적 모델이었습니다. 건축물이 지역의 DNA가 되어야 한다는 하마노의 철학은 입주자 선정에서도 드러났습니다. 이세이 미야케, 꼼데가르송, 비기 니콜 같은 신진 디자이너들을 전략적으로 유치해 창의적 시너지를 만들어냈습니다.



2.5. 하마노는 신진 디자이너들을 전략적으로 유치함.

하마노는 신진 디자이너들을 전략적으로 유치함.
Fig.5 - 하마노는 신진 디자이너들을 전략적으로 유치함.

2010년대에는 더블탭, 플랜 C, 디자이너 이마 이즈미가 2010년에 런칭한 안경 브랜드인 아아메로 2호점도 최근 이곳에 입점했습니다. 지금도 프롬 퍼스트에 이세이 미야케 매장이 있는데요. 그 시대의 감각을 지금 시대의 감각으로 바꿔 나가면서 프롬 퍼스트의 정체성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6. 하마노는 건물을 플랫폼으로 보는 혁신적 접근법을 제시함.

하마노는 건물을 플랫폼으로 보는 혁신적 접근법을 제시함.
Fig.6 - 하마노는 건물을 플랫폼으로 보는 혁신적 접근법을 제시함.

하마노의 비전을 실제 건축물로 구현한 사람은 야마시타 카즈마사입니다. 야마시타 카즈마사는 기능주의 건축에서 벗어난 건축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는 초기 현대 건축에서 실용적인 접근법을 벗어나 새로운 표현 방식을 찾았습니다.

2.7. 프롬 퍼스트는 예술과 기술의 융합을 보여줌.

프롬 퍼스트는 예술과 기술의 융합을 보여줌.
Fig.7 - 프롬 퍼스트는 예술과 기술의 융합을 보여줌.

무엇보다 야마시타는 건물의 간단한 모양과 꼭 필요한 것만 남기는 방식으로 공간, 재료, 빛을 새롭게 해석하려 했습니다. 이러한 그의 생각은 건물을 여러 측면에서 본 하마노 아이디어를 실제로 만들기에 가장 잘 맞는 건축가였던 디자이너들을 위한 공간답게 단차와 수납장으로 작업 공간을 분리하고, 천창을 통해 충분한 자연광을 확보했습니다. 이층 곳곳에는 소파나 원형 벤치를 두어 아이디어를 나눌 수 있게 했고, 화단과 테라스도 만들었습니다. 3M 모듈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가변적 공간 구획, 최소화된 창문과 사선 천창의 도입은 프라이버시와 자연광 유입의 균형을 실현했습니다.

도시 맥락과의 대화도 공간에 담았는데요, 오모테산도의 경사지형을 수용한 나선형 슬로프는 주변 건물군과 조화를 이루는 매스감을 제공하며, 화단과 테라스를 통한 반공적 공간의 창출은 야마시타의 맥락적 감수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러한 요소들은 건축물과 도시 환경의 유기적 연계를 가능하게 했습니다.. 프롬 퍼스트가 다른 공간과 달랐던 이유는 건물이 완성된 후에도 꾸준히 그 의도를 유지했다는 점입니다.

하마노 기획과 야마시타의 건축적 해법이 만나 독특한 운영 시스템이 만들어졌습니다. 또한 하마노가 구상한 테넌트 믹스 전략은 야마시타의 공간 설계와 맞물려 시너지를 창출했습니다. 프롬 퍼스트가 특별한 이유는 건물이 완성된 후에도 꾸준히 원래의 의도를 유지했다는 점인데요, 헤어살롱, 패션 브랜드 쇼룸, 카페 피가로, 이마바리 타올 매장 같은 편의 시설들은 외부 집객력을 동시에 확보하는 거점이 되었습니다.



2.8. 프롬 퍼스트는 도시 환경과 유기적 연계를 가능하게 함.

프롬 퍼스트는 도시 환경과 유기적 연계를 가능하게 함.
Fig.8 - 프롬 퍼스트는 도시 환경과 유기적 연계를 가능하게 함.

이 모델은 이후 2000년대 로뽕이 힐즈, 후쿠오카 캐널시티 개발에도 영향을 주었는데요, 실제로 로뽕이 힐즈에 프롬 퍼스트가 구현했던 여러 요소들, 즉 직주 아기 통합된 형태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또한 하마노는 모리 빌딩에 오모테산도 힐즈 기획도 제안했었지만, 모리 빌딩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모리 빌딩은 안도 다다에게 오모테산도 힐즈를 맡겼고, 하마노는 그가 지은 오모테산도 힐즈에 대해 하라주쿠와 결이 맞지 않는다고 비판했습니다. 하마노와 야마시타가 만든 프롬 퍼스트는 단순한 건축물을 넘어 도시 공간에 대한 근본적인 재해석을 가져왔습니다.

'라이프스타일 프로듀서'라는 개념, 건물을 플랫폼으로 보는 관점, 건축물이 지역의 DNA가 되어야 한다는 철학은 오늘날에도 유효한 접근법입니다. 오히려 이러한 부분은 더 발전하고 있습니다. 50년이 지난 지금도 프롬 퍼스트는 옛날 건물이 아닌 성공 자원으로 인정받고 있는데요, 이는 건물을 단순한 물리적 구조가 아닌 삶을 담는 공간, 사람을 위한 이야기로 해석했기 때문입니다.



2.9. 프롬 퍼스트는 현대 도시 건축의 초석이 됨.

프롬 퍼스트는 현대 도시 건축의 초석이 됨.
Fig.9 - 프롬 퍼스트는 현대 도시 건축의 초석이 됨.

이런 부분은 40년에 가까운 시간 동안 건물을 지어가면서 다이카 야마의 정서를 만든 힐사이드 테라스와도 비슷합니다. 하마노와 야마시타는 도시 사람과 문화의 유기적 공존 방식을 제시한 선구자로, 디지털 시대에도 여전히 유효합니다. 도시 공간이 삶의 방식을 담는 그릇이 될 수 있다는 그들의 비전은 현대 도시 개발자들에게 중요한 영감을 주고 있습니다.

2.10. 하마노와 야마시타의 비전은 디지털 시대에도 여전히 유효함.

하마노와 야마시타의 비전은 디지털 시대에도 여전히 유효함.
Fig.10 - 하마노와 야마시타의 비전은 디지털 시대에도 여전히 유효함.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댓글로 알려 주세요. 영상이 마음에 드셨다면 구독과 좋아요도 부탁드립니다. 저는 다른 영상으로 다시 찾아오겠습니다..


3. 영상정보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댓글 쓰기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