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경제의 마이너스 성장 예측과 관세의 영향

미국 경제의 마이너스 성장 예측과 관세의 영향

1. [홍장원의 불앤베어] 미국 경제, 충격의 1분기 마이너스 성장 예측. 관세가 미국을 침체로 몰고가나. 금리인하 기대감 상승에 증시는 반전.

한줄요약: 미국 경제의 마이너스 성장 예측과 관세의 영향
*타임라인을 클릭하면 이동/재생됩니다.
시간 요약
00:46 물가 상승률이 둔화되었으나 경제 둔화가 우려됨. 소비 감소가 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침.
01:47 채권 시장에서 경제 둔화에 대한 공포가 감지됨. 10년물 금리가 하락세를 보임.
02:18 미국의 1분기 GDP가 -1.5%로 예상됨. 소비와 투자 감소가 주요 원인임.
03:48 GDP 예측이 마이너스로 나오면서 금리 인하 기대감이 커짐. 증시는 금리 인하를 긍정적으로 반응함.
04:18 트럼프의 외교 정책이 복잡한 상황에 놓여 있음. 관세와 외교가 상충하는 모습임.
04:33 트럼프 대통령과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의 회담에서 긴장감이 감돌음. 협상 결렬로 이어짐.
06:32 멕시코 마약 카르텔 수장이 미국으로 이송됨. 트럼프의 마약 문제 해결 의지가 드러남.
07:48 미국의 농업 무역 적자가 사상 최고치에 이를 것으로 예상됨. 식품 수입이 급증하고 있음.
08:02 미국의 밀 수출이 러시아에 밀리고 있음. 브라질이 옥수수와 대두 최대 수출국으로 부상함.
08:16 미국의 농업 정책이 변화하고 있음. 고부가가치 생산으로의 전환이 필요함.
08:31 계란 수입 계획이 7천만 개에서 1억 개에 이르는 상황임.
08:46 관세로 인해 식품 물가가 상승할 가능성이 큼.
09:03 저소득층 서민들이 물가 상승으로 고민이 깊어짐.
09:17 트럼프는 계란 문제를 재앙으로 언급함.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2. 스크립트

자 오늘도 다양한 뉴스가 쏟아지고 있습니다. 먼저 PC 소식을 전해 드렸죠.

PC 속보로 전해 드렸는데 예상치에 부합하는 수준이었습니다. 헤드라인이 yy 기준 2.5% 올랐고요.

전 열 대비는 0.3 올랐고요. 코어 기준으로 하면은 전년 대비 2.6 전달 대비로는 0.3 올랐습니다.

하지만 속보 영상 때 다 전해 드린 내용 이지만이 전월 나온 이 코가 2.8로 찍혀 나왔었지만 이게 2.9% 좀 올라갔습니다. 그래서 이번에 나온 숫자도 시장이 좀 의심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이 정도 정리를 할 수 있을 것 같고요.


2.1. 물가 상승률이 둔화되었으나 경제 둔화가 우려됨. 소비 감소가 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침.

물가 상승률이 둔화되었으나 경제 둔화가 우려됨. 소비 감소가 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침.
Fig.1 - 물가 상승률이 둔화되었으나 경제 둔화가 우려됨. 소비 감소가 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침.

그리고 pc's 아까 전해 드리지 않은 내용 PC 본 소비가 굉장히 줄었습니다. 지금 보시면 은 인플레이션 감안한 소비자 지출이 0.5% 줄어들면서 4년 여 만에 가장 큰 낙폭을 기록했습니다.

자동차 구매의 하락과 레크리에이션 상품에 이 감소가 많은 여향을 미쳤습니다. 정리하자면 이런 것이죠.

물 가가 둔화된 것은 좋은 겁니다. 하지만 그 중요 이슈가 소비가 둔화 돼서 라도 감소가 이어지는 그런 그림이라면 사실은 좋은 게 아닐 겁니다.

경제가 성장하면서 물가 상승률이 내려가는 최소한 경제가 버텨 주면서 딘스 플레가 나는 것이 좋은 것이지 경제가 둔화되면서 물가가 조정 받는 것이라면 그렇게 좋은 그림은 아닐 겁니다. 그래서 오늘 금 미 보시면 은 중요한 게 봐야 될 게 지금 10년 물 장 초반 좀 갈등을 하다가 결국은 내려가는 것으로 방향을 잡았다 제가 캡 처한 시간 기준으로 이렇게 볼 수 있고요.


2.2. 채권 시장에서 경제 둔화에 대한 공포가 감지됨. 10년물 금리가 하락세를 보임.

채권 시장에서 경제 둔화에 대한 공포가 감지됨. 10년물 금리가 하락세를 보임.
Fig.2 - 채권 시장에서 경제 둔화에 대한 공포가 감지됨. 10년물 금리가 하락세를 보임.

연물 의미가 있었습니다. 지금 조금 빠르게 하락을 하면서 등락이 역시 있었지만 캡처한 시간 기준으로는 4% 살짝 밑도는 수준 즉 장 중 4% 밑도는 상황 연출을 했습니다.

결국 채권 시장에서도 경제 둔화에 대한 공포를 좀 체감하는 그런 모습이었다 볼 수 있겠습니다. 오늘이 뉴스 가장 중요할 것 같습니다.


2.3. 미국의 1분기 GDP가 -1.5%로 예상됨. 소비와 투자 감소가 주요 원인임.

미국의 1분기 GDP가 -1.5%로 예상됨. 소비와 투자 감소가 주요 원인임.
Fig.3 - 미국의 1분기 GDP가 -1.5%로 예상됨. 소비와 투자 감소가 주요 원인임.

GDP 나오 예측 애 틀 연이 조사하는 GDP 나 오의 예측이 예측력이 상당히 높다 이렇게 전해 드린 바 있는데 물론 이거는 계속 실시간 빠르면 2 3일 길면 일주일 단위로 계속 업데이트되는 그런 데이터이기 때문에 이게 고정된 데이터가 아닙니다. 앞으로 1 분기 데이터가 나올 때까지 계속이 추정치가 업데이트 되면서 바뀔 텐데 여 튼 하여튼 오늘 업데이트된 이 숫자가 마이너스로 나왔습니다.

미국이 이번 1 분기 -1.5% 에 성장을 할 것이란 충격적인 데이터가 나왔습니다. 왜냐 이 GDP 구성하는 요소 가이 월가 월부 시청자 여러분이면 다 아실 것 같은데 GDP 소비 더하기 투자 더하기 정부 지출 더하기 순 수출 요렇게 구성이 되지 않습니까.

가뜩이나 지금이 순수 출 n exp 이게 지금 마이너스로 찍혀 나왔단 말이죠. 근데 이번 업데이트된 데이터 2월 28일 현지 시간 나온 데이터에서 이게 엄청나게 마이너스 폭이 커졌습니다.

입니다. 그래서 이게 GDP 예상치를 낮추는 핵폭탄으로 지금 작용을 하고 있고요.

게다가 이번에 소비가 줄었다고. 제가 앞서 설명을 드렸죠.

소비 증가가 기존 2.3에서 1.3으로 내려가면서 또 영향을 미쳤습니다. 결국은 지금 시장이 트럼프의 관세 정책으로 미국 정부가 예상 만큼 효과를 거두지 못할 것으로 보고 있다는 그런 얘기인데요.


2.4. GDP 예측이 마이너스로 나오면서 금리 인하 기대감이 커짐. 증시는 금리 인하를 긍정적으로 반응함.

GDP 예측이 마이너스로 나오면서 금리 인하 기대감이 커짐. 증시는 금리 인하를 긍정적으로 반응함.
Fig.4 - GDP 예측이 마이너스로 나오면서 금리 인하 기대감이 커짐. 증시는 금리 인하를 긍정적으로 반응함.

GDP 측면에서 보면 그렇다 얘 기죠. 지금 마침 또 GDP 나우 데이터가 나오면서 서 패드 워치가 조금 변동이 있었습니다.

지금 제가 현재 시간 오늘 아침에 전해 드린 데이터로는 두 번 정도의 금리나 예상을 하고 있었는데 이게 조금 더 어 GDP 나 오가 마이너 성장을 예측하니까 바뀌어 가지고요. 6월에 한 번 금리나 하고 9월에 한번 하고 마지막에 12월까지 찍어 놓은 그런 걸 볼 수 있었고 이렇게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니까 조금 갈등하던 증시 일단 금리 인하를 호재로 받아들인 그런 모습이었습니다.


2.5. 트럼프의 외교 정책이 복잡한 상황에 놓여 있음. 관세와 외교가 상충하는 모습임.

트럼프의 외교 정책이 복잡한 상황에 놓여 있음. 관세와 외교가 상충하는 모습임.
Fig.5 - 트럼프의 외교 정책이 복잡한 상황에 놓여 있음. 관세와 외교가 상충하는 모습임.

그래서 4대 지수 지금 제가 캡 처한 시간 지원 이건 현재 시간 기준 한 3시 반 정도 3시 40분 정도의 데이터인데 이렇게 상승으로 지금 움직이는 그런 모습이고 금리에 가장 민감한 러셀 2천만 종을 보시면요 3시 20분 데이터 지금 장 중에 여러 가지 데이터가 혼합되면서 왔다 갔다 하다가 결국은 지금 상승으로 방향 전환한 모습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지금 관세가 제가 참 어렵다고.

했는데 여러 가지 지금 트럼프의 외교도 사실 지금 여러 가지 조금 걸려 있는 것이 많습니다. 오늘 젤 렌 스키 우 크라 이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과 미팅이 있었는데 저는 개인적으로 이 정상 간의 미팅이 이렇게 흘러가는 건 처음 봅니다.


2.6. 트럼프 대통령과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의 회담에서 긴장감이 감돌음. 협상 결렬로 이어짐.

트럼프 대통령과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의 회담에서 긴장감이 감돌음. 협상 결렬로 이어짐.
Fig.6 - 트럼프 대통령과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의 회담에서 긴장감이 감돌음. 협상 결렬로 이어짐.

둘이 서로 거의 싸우다시피 논쟁을 하다가 결국 젤 렌 스키 트럼프에 의하면 오늘 예정됐던 광물 협정에 사인을 하지 않고 자리를 넣습니다. 뭐였냐.

면 이런 겁니다. 둘이 앉으니까 트럼프가 광 물 협정 얘기를 많이 몰아갑니다.

사실은 이 트럼프가 스키가 군복을 입고 다니잖아요. 전쟁 중이니까 그래서 이거 멋있다 이렇게 농담도 하는데 트럼프가 계속이 광물 협정 얘기를 하니까 젤 렌 스키 논의를 조금 바꾸면서 우 크라 이 나의 안보를 보장할 수 있는 어떤 현실적인 것을 내놔 라 이런 취지의 발언을 좀 합니다.

왜냐면 이렇게 되면 은 푸틴이 다시 쳐들어올 수도 있고 푸틴은 우 크라 이 나를 증오하고 있고 이렇게 얘기를 해요. 그러니까 트럼프가 또 뭐 중간 얘기는 좀 생략하겠습니다.

너는 지금 3차 대전을 가지고 도박을 하고 있다 너는 지금 우리한 뭐 이리라 저 래라 할 그런 카드가 없고 또 옆에 있던 벤스 부통령도 지금 미국한테 감사 하다고 표현을 했냐. 이렇게 몰아 세워요.

그러니까 젤렌스키는 나 여러 번 감사 하다고 말을 했다. 이렇게 받아치면서 어떤 대화가 이렇게 점점 점 그 목소리가 서로 커지는 그런 분위기였는데 이렇게 설명 드리면 이날의 어떤 파국적인 분위기를 짐작하실 수 있겠죠.

그래서 결국 젤렌스키는 서명하지 않고 떠났고 트럼프는 이 트루 소 셜 통해서 그는 미국 을 무시했다. 아마 평화가 맞이할 준비가 되면 다시 오겠지 뭐 이렇게 표현을 합니다.

어 튼 이 그 요약하자면 트럼프는 젤 렌 스키 미국을 지렛대로 어떤 협상의 우의를 가져가려고 한다고 생각을 하는 거 같고요. 트럼프는 나는 그걸 원하지 않고 종국 적인 어 평화를 원한다 피스를 원한다 이렇게 설명하는 거를 볼 수 있습니다.


2.7. 멕시코 마약 카르텔 수장이 미국으로 이송됨. 트럼프의 마약 문제 해결 의지가 드러남.

멕시코 마약 카르텔 수장이 미국으로 이송됨. 트럼프의 마약 문제 해결 의지가 드러남.
Fig.7 - 멕시코 마약 카르텔 수장이 미국으로 이송됨. 트럼프의 마약 문제 해결 의지가 드러남.

참 쉽지 가 않은 겁니다. 외교가 지금 멕시코 관세도 예정이 돼 있죠.

3월 초 예정돼 있는데 이거 관련해서는 멕시코가 의미 있는 성의 표시를 한 게 있는데 멕시코 마약 왕으로 불리는 마약 카르텔 수장 라파엘 카로 킨 테로 이 사람입니다. 이 사람이죠.

미국이 40년 간 쫓아다닌 이 마약 왕이 카르텔 고위간부 28명과 함께 미국으로 이송이 됐습니다. 이 킨 테로 지난 1985년 미국 마약 단속 국 요원을 고문 살인한 혐의를 받고 있는데 그동안이 FBI 가장 잡고 싶었던.

그런 사람들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과거에 이 체포가 되지만은 2013년 멕시코 법원 판결로 풀려났고 3년 전에 다시 세포가 됐는데 이 과정에서 멕시코 특수부대 14명이 헬기 추락으로 죽기도 했습니다.

여 튼 지금 트럼프의 명분이 마약이니까 멕시코는 최대한의 성의를 보이는 것이죠. 그리고 이런 문제 떠나서 아까 관세 이슈로 지금 미국 GDP 마이너스 성장 경고등 셨다.


2.8. 미국의 농업 무역 적자가 사상 최고치에 이를 것으로 예상됨. 식품 수입이 급증하고 있음.

미국의 농업 무역 적자가 사상 최고치에 이를 것으로 예상됨. 식품 수입이 급증하고 있음.
Fig.8 - 미국의 농업 무역 적자가 사상 최고치에 이를 것으로 예상됨. 식품 수입이 급증하고 있음.

이렇게 말씀을 드렸는데 최근 데이터 다른 걸 봐도 참이 관세가 쉽지 가 않습니다. 최근 들어서는 지금 미국이 이 수입하는 식품에 대한 비중이 극하게 늘고 있습니다.


2.9. 미국의 밀 수출이 러시아에 밀리고 있음. 브라질이 옥수수와 대두 최대 수출국으로 부상함.

미국의 밀 수출이 러시아에 밀리고 있음. 브라질이 옥수수와 대두 최대 수출국으로 부상함.
Fig.9 - 미국의 밀 수출이 러시아에 밀리고 있음. 브라질이 옥수수와 대두 최대 수출국으로 부상함.

오랫동안 미국은 이 식품 농산물을 수출하는 나라였고 트럼프 정부 시절 무역 분쟁할 때 잠깐 수입하는 나라가 됐었지만 최근 3년 보면 은이 완전히 식품 생산 대국이 맞나. 싶을 정도로 수입을 많이 하거든요.


2.10. 미국의 농업 정책이 변화하고 있음. 고부가가치 생산으로의 전환이 필요함.

미국의 농업 정책이 변화하고 있음. 고부가가치 생산으로의 전환이 필요함.
Fig.10 - 미국의 농업 정책이 변화하고 있음. 고부가가치 생산으로의 전환이 필요함.

그래서 올해 지금 미국 농업 무역 적자가 사상 최고 인 49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이게 미국 농무 부의 보고서인데 왜냐면 커피 가격도 오르고 설 당 가격도 오르고 아보카도 수입도 늘어나고 오 렌 이주 수 수입도 늘어나고 반면 미국의 강점인 밀 수출은 러시아에게 좀 밀리고 있고 브라질은 미국을 제치고 옥수수와 대두에 최대 수출국이 되고 있습니다. 결국 미국 농업은 이런 에탄올 생산 같은 그런 고부가 같이 쪽으로 눈을 돌리고 있고요.


2.11. 계란 수입 계획이 7천만 개에서 1억 개에 이르는 상황임.

계란 수입 계획이 7천만 개에서 1억 개에 이르는 상황임.
Fig.11 - 계란 수입 계획이 7천만 개에서 1억 개에 이르는 상황임.

이런 분위기인데 심지어 이 490억 달러의 올해 예상되는 최고의 농업 부문 적자는 지금 미국 농무 부가 그저께 인가 발표를 했죠. 미국 계란 난이 너무 심하기 때문에 7천만 개에서 1억 개에 이르는 달걀을 수입할 계획인데 그 숫자는 이 계란 숫자는 들어가지 않은 숫자입니다.


2.12. 관세로 인해 식품 물가가 상승할 가능성이 큼.

관세로 인해 식품 물가가 상승할 가능성이 큼.
Fig.12 - 관세로 인해 식품 물가가 상승할 가능성이 큼.

그러면 여 튼 지금 식품 이런 분야 관세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거든요 관세를 때리면 식품 물가가 올라갈 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그리고 이 식품 물가는 바로 이 장 바구니 물가 이고 또 이걸 기반으로 여러 가공식품 또 레스토랑 가격 이거를 올리는 주범이기 때문에 가기나 지금 팬 데 믹 이전 대비 먹거리 물가가 너무 올라서 저소득층 서민들이 고민이 깊어진 상황에서 장바구니 물가가 오르면 민심이 상당히 안 좋아질 수 있다 지금 트럼프가 계란이 재앙이다 말하는 것도 결국 지난 cpi 보니까 cpi 식용품 가격 상승 2 분가 계란 때문이었죠.


2.13. 저소득층 서민들이 물가 상승으로 고민이 깊어짐.

저소득층 서민들이 물가 상승으로 고민이 깊어짐.
Fig.13 - 저소득층 서민들이 물가 상승으로 고민이 깊어짐.

하지만 또 관세로 인해서 식용품 가격이 더 오르면 미국 정부가 상당히 좀 고난에 처할 수 있습니다. 결국 미국이 이렇게 이 관세로 인해서 굉장히 복잡한 상황에 놓여 있다 참이 고차 방정식 어렵다.


2.14. 트럼프는 계란 문제를 재앙으로 언급함.

트럼프는 계란 문제를 재앙으로 언급함.
Fig.14 - 트럼프는 계란 문제를 재앙으로 언급함.

이런 분위기 알고 가시면 좋겠습니다. 오늘 준비한 영상 이것으로 마무리 하고요.

월 걸 구독과 좋아요. 많은 사랑도 함께 부탁 드립 니다 감사합니다.



3. 영상정보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댓글 쓰기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