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렇게 커튼을 닫는 미국인, 99%로 가난하다는 뜻입니다.
한줄요약: 커튼과 미국인의 심리적 상징
시간 | 요약 |
---|---|
03:03 | 부유한 사람들의 삶을 엿볼 수 있는 상징적 요소임. |
03:49 | 커튼의 의미를 통해 사회적 계급을 이해함. |
08:47 | 강직한 기억이 커튼 집착으로 이어짐. |
11:19 | 커튼을 닫는 행동은 불안감의 표현임. |
12:18 | 가난한 동네 출신의 습관으로 여겨짐. |
12:48 | 부자들은 범죄에 대한 두려움이 적음. |
13:48 | 안전한 동네에서도 커튼을 닫는 이유는 불안함. |
14:49 | 중산층 동네에서도 커튼이 닫혀 있음. |
15:05 | 커튼 없는 창문은 삶을 전시하는 느낌을 줌. |
15:49 | 커튼 없는 집은 부자의 상징으로 여겨짐. |
17:20 | 중산층의 불안함과 부자의 자유가 대비됨. |
18:02 | 커튼과 집 크기 외에도 계급 차이를 보여줌. |
18:48 | 한국인도 이미 부자 스타일을 따르고 있음. |
19:18 | 낡은 집에 대한 표현도 문화적 차이를 반영함. |
2. 스크립트
안녕 하세요 올리버 쌤입니다. 마지막 한 바가 찾아온 텍사스의 겨울 끝자락 마이 미 큰 커튼을 걷는 소리와 함께 아침을 시작합니다. 아침부터 저희가 가장 먼저 해야 하는 일은 머니 머니 해도 애들 밥 먹이게 아니겠어요. 세상에서 자기 입이 가장 크고 예쁘다며 아침을 야무지게 먹는 체리 이럴 때 장난치지 말고 어서 먹자 하는 잔소리는 한국이나 미국이나 똑같겠죠.마 그리고 애들은 잔소리를 귓등으로 뜨는 것도 똑같겠죠. 중의 방치 리 먹자 결국 스카이는 언니에게까지 잔소리를 듣는군요. 게 사랑해 고마워 그렇게 아침도 사랑도 든든히 먹고 유치원으로 가는 체리 바 체리 언니가 유치원에 간 동안 스카이는 집에 혼자서 뭘 할까 나 바로 대미를 하며 온 집안을 누비지 이렇게 배로 온 집 안에 먼지도 쓸고 보이는 곳은 쪽쪽 잡아서 입에 놓고 본답니다. 그래서 조이는 수시로 이렇게 청소를 해야 하는데요 미국 집은 특기 먼지가 많은 편이에요 서버 위에 기본적으로 신이 열기는 있어야 하고 거실에는 꼭 두 거 운 카펫트가 있어야 하고 커튼도 필수라서 먼지가 정말 많이 리 거 게다 가이 커튼 때문에 저는 토종 한국인 마님이랑 종중 말다툼을 할 때도 있답니다.
은 다 닫아야 되잖아. 다 열려 있어 그니까 방금 받았는데 다시 왜 어차피 아무도 안 보는데 여기 아 모르잖아. 이상한 사람 어 수 있잖아. 여기밖에 없잖아.
여기 혹 이미 닫았는데 왜 또 닫아야 돼 네 저는 항상 외출하기 전에 언지 안의 커튼을 꼭꼭 닿는데요 반대로 마님은 집에 들어오자마자 가장 먼저 하는 곳이 커튼 기에요 이렇게 커튼을 활짝 열어서 자연광이 집에 들어오는 것이 너무 좋대요. 햇빛을 받아야 다면서요 생각해 보니 저는 마미 커튼 받는 곳을 한번도 본 적이 없어요. 저는 항상 이렇게 커튼을 따는 적이고 마니는 제가 이렇게 열심히 다 은 커튼을 항상 다시 열어 버리는 적이죠. 아마도 한국에는 마님 같은 사람들이 꽤 많을 거 같은데요.
그런 데 사실 마 같은 행을 보면 미인들은 수 있 와이 한국인 진짜 부자집 딸인가 봐요. 엄청난 가문에서 자한 대단한 부잣집 출신인가 봐 여러분에게는 생소하겠지만 한국에서는 평범한 이 커튼을 열고 창을 열고 파 을 세는 행동이 미국에서는 부자들의 행동으로 해석됩니다. 주로 부자나 특권의 몸이 인 습 이거든요 이 행동은 어쩌면 명품 가방보다 더 강한 부의 상징입니다. 명품 가방은 돈 주고 살 수 있지만 습관 같은 거는 돈 주고 살 수 없잖아요.
2.1. 부유한 사람들의 삶을 엿볼 수 있는 상징적 요소임.

그냥 타고 난 거니까 대체 이게 무슨 소리일까 커튼 안 닿는 게 부자랑 무슨 관계일까요 이 이야기를 시작하기 전에 커튼의 기능을 얘기해 봅시다. 커튼에는 강한 빛을 가리기 위한 기능이 있습니다. 그리고 가운 바람을 막아주는 보호 원의 기능도 하죠. 그리고 물론 사생활을 보호하는 중요한 기능도 하고요.
네 이것까지 는 미국도 똑같습니다. 근데 미국 사람에게는 이유 추가로 또 있습니다. 그리고 미국인에게는 가장 중요한 이유입니다. 그것은 바로 기 올까 봐 이렇게 차이나 만도 한 게 한국에서 일어나는 강도 숫자는 얼마 정도일까요 대검 청에서 발표한 자리를 찾았더니 2021년 1년 동안 고작 51일 건입니다.
2.2. 커튼의 의미를 통해 사회적 계급을 이해함.

그래서 한국 사람들은 거 튼 닫지 않고 밤에도 거실이 환하게 보이는 경우가 정말 많은 거 같아요. 하지만 같은 해 미국은 어 땠을까요. 미국 치한이 안 좋으니까 한국계 열 배 아닙니다. 백배 아닙니다.
선배 이것도 아닙니다. 무려 170 배 해야 합니다. 야 이거 뭐 강도 공항 국이라고 해야 되나요 대박이죠. 아이이고 또 어떤 분들이 확실히 미국을 비하하지 마라고 하실 거 같은데 근데 여러분 이건 비하하는 게 아니고 환전 fba 웹사이트 들어가서 확인할 수 있는 팩 트입니다.
은 한국보다 압도 쪽으로 강도가 많은 나라입니다. 안타깝게도 부끄럽게도 이러다 보니 이런 범죄에 가장 노출이 많이 되는 사람들은 당연히 가난한 동네에 사는 사람들입니다. 슬프지만 미국에서 가난한 동네에 산다는 것은 그만큼 범죄가 많은 위험한 동네 산다는 뜻이거든요 히어 있어 낡은 뒤 내려간다 듯 아닙니다. 운 아니에요.
상태가 빨리빨리 다운으로 가서 운 하는 거 같아요. 보 동네 차 그때 사람 옷에 대해서 얘기 안해요 이상지 않네. 동네 집값은 대략 20만 불 3억 굉장히 낮은 편에 속하는데요 강도 사건이 많아서 이렇게 현관문에 이중으로 문을 만들구 나 그리고 이런 좀 오래된 집들 안에 그 센트럴 에어 컨 디 셔 닝 없거든요. 그래서 그거 창문마다 그런 에어컨 디 셔 닝 유닛 볼 수 있어요.
도둑들이 가끔 그것까지 막 지려고 합니다. 그래서 그거 바 안에 있는 경우 아주 많아요. 그래도 훔쳐 버린 사람 되게 많아요. 어 마침 저기 누가 뜯어 가서 에어컨이 없네요.
근데요 사실 저에게는 별로 놀라운 일이 아닙니다. 여러분에게 이런 이야기 하는 것은 처음인데 저는 사실 어릴 때 이런 동네에서 컸거든요 어릴 때 할머니가 저를 많이 봐 주셨는데 할머니가 살던 집이 이런 분위기의 위험한 동네였어요. 특 게 밤 되자마자 두세 시간마다 내 가끔 탁 막이 정도 많이 들었습니다. 근데 이거 사람들이 무슨 그냥 뭐 연습 뭐 총 연습한 거 아니었어요.
그냥 진심으로 보통 그냥 드라 이브 바이 슈 링 혹은 그냥 뭐 깽 길이 싸 오는 소리였습니다. 일반인들도 피해 많이 봤거든요. 왜냐면은 한꺼번에 그런 그런 종기 사건 있을 때 아 저 준 잘못하는 사람 되게 많잖아요. 그리고 막 이렇게 길거리에서 이렇게 싸고 있을 때 알 트는 여 기도가 여기도 가 여 기도가 스럽게 이런 집 안에 그냥 들어가는 거죠.
2.3. 강직한 기억이 커튼 집착으로 이어짐.

그래서 보시면 그 커튼 블라인드 다 다 있어요. 네 여러분 눈 설 있으신 분들은 벌써 눈치 채셨을 것 같은데요. 이거 보세요. 이 동네 집에 있는 창문이란 창문은 모두 블라인드가 내려가 있구나 여기도 보세요 이 집도 블라인드가 있죠.
이 집은 모든 창문의 살까지 생각해 보니까 그 할머니 집 집에서 커튼 연 적 없고 할머니가 커튼 여신 적 없으신 거 같았어요. 못 봤어요. 아예 그 창문 어떻게 생겼는지 그것도 몰랐어요. 그냥 항상 그 커튼 그냥 그냥 벽 같았어요.
항상 혀 있었어요. 네 그래서 그 창문 자체가 그 불 였 근데 생각해 보니까 그 당시에 이 장문 때문에 막 불안 하다 이런 생각한 적 없었습니다. 그냥 당연하게 이거 거기 있으면 안 된다 당연히 여기 앞에 있으면 안 된다 약간 그런 그런 그런 심었습니다.
또 실제로 제가 어릴 때 저희 집이 강도를 당한 적도 있어요. 벌써 30년도 지난 이야기 지만 제 어머니로 사도 아직도 생생하게 기억하고 계시죠. and AS we drove up we noticed the front door was hanging Open actually bashed in and right away we knew something bad and then but Brad I think was worried about that there be someone in the house Oh but we didn't have a gun or anything so he ran in first and said well no one's here but they got away with uh They ran bed and they took looks like they took your quilt and put all your jeel into it and wrapped it all up in there Yeah I remember that Yeah It was horrible I felt really violated you know are we safe there anymore and even though We are Way Back from the street Yeah thing I do every night before we go to bed I make Sure all the curtains are closed all the doors are locked door if I'm there alone and I hear a car anything [ 음악] 네. 여러분 강 겪으며 생긴 드라마 문인지 평생 불안함을 고 사시는 로 이 말이 혀 린 말이 아닌 게 저 당했던 강직 더 뚜렷하게 기억 나거든요 그리고 그 트라 우마는 아직도 제가 커튼을 집착하게 만들죠.
2.4. 커튼을 닫는 행동은 불안감의 표현임.

그래서 주위에 아무도 살고 있지 않은 주택에 살고 있는데도 우리 집을 볼 수 있는 사람이 정말 아무도 없는데도 커튼을 무의식적으로 꼭 닫아요. 꼭 닫아야 돼 창문 때문에 굉장히 불안해요. 이거 이거 커튼 다쳐 있어도 뭔 가이 여기 앞에 있으면 불안하거나 불안합니다. 네 여기 여기 좀 지나가면 은 여기 여기 벽 있잖아요.
이럴 때는 괜찮아 튼튼한 벽 있으니까 그리고 제 그림자도 안 보이겠죠. 네 여기 있으면 은 뭐 제 그림자 여기 보일 수 있을 것 같아요. 그래서 저는 막 아예 보고 있나. 지나갈 때도 좀 수도 바 하이 네 제가 지금 좀 웃기게 표현하고 있긴 한데 가난한 동네에서 잘한 사람이라면 누구나 가지고 있는 좀 마음 아픈 습관입니다.
2.5. 가난한 동네 출신의 습관으로 여겨짐.

그래서 지나지 게 거 은 집착하는 미국인을 보면 여러분은 아마 대충 예상해 볼 수 있습니다. 아이 사람 가난한 동네 출신인가 보다 한 동네에서 너보다 하지만 이렇게 커튼 닿는 행동이 꼭 가난한 동네만의 전유물인 곳은 아닙니다. 지금 도착한 곳은 평범한 중산층이 사는 동네인데요 지어 진지 오래되었지만 도심에서 멀리 떨어진 평화로운 시골 동네 평균 집값은 40만 불 6억 중산층이 사는 동네 니 까 당연히 치한도 나쁘지 않겠죠. 총소리도 안 들릴 겁니다.
2.6. 부자들은 범죄에 대한 두려움이 적음.

강도 당하는 일 주 드물 고예요. 그런 데도 보시면 느끼시겠지만 창문이 아무것도 안 보입니다. 여기도 다쳐 있고 또 여기도 이거 아 예로 가버렸어 네 심지어 식물로 가려 버린 집도 있네요. 햇빛 많이 들어 오라고 창은 크게 만들었는데 이렇게 대낮에도 커튼을 쳐서 어둡게 사는 현실 세 항상 그런 강도랑 뭐 범죄자에 대한 거 너무 많아서 사람들이 겁먹어서 그냥 무조건 창문을 닫아 버리는 거 같아요.
2.7. 안전한 동네에서도 커튼을 닫는 이유는 불안함.

그런 거 같아 우리 동네에 안 와도 그냥 그 가능성 있으니까 TV TV 그거 나오는 거 되게 가까이 느껴서 그런 거 같아요. 그래서 안전한 동네 살아도 커튼을 꼭 닫고 삽니다. 그게 마음이 [ 박 수] 편하니까요 동네는 어떨까요. 이제 저는 이 지역에서 부호들이 모여 사는 동네로 가고 있습니다.
이 동네에서는 평균 집값이 200만 불 그러니까 28억 600만 불 700만 불 그러니까 대곡 집도 쉽게 찾을 수 있는데요 여기서 가장 산 집에 살아도 집값이 150만 불 즉 20억이 그만 부자들이 모여 사는 동네라는 뜻인데요 아마 여러분은 이렇게 생각하시겠죠. 그렇게 돈이 많은 부 자니까 당연히 가진 곳이 굉장히 많고 집안에 훔칠 것도 많고 명품도 많겠지 그럼 당연히 커튼을 더 열심히 닫아야 하지 않을까. 그런데 여러분 보이세요. 충격적이 게도 커튼이 다 열려 있습니다.
2.8. 중산층 동네에서도 커튼이 닫혀 있음.

해가 떨어져서 받을 햇빛이 없는데도 밤이라서 내부가 더 환하게 잘 보이는데도 부자 동네 집들은 커튼을 모두 열어 놓고 살고 있습니다. 여기도 열 여기도 다 진짜 다 열려 있네요. 진짜 열려 있어요. 하니 커튼이 애초부터 없는 경우도 많아요.
2.9. 커튼 없는 창문은 삶을 전시하는 느낌을 줌.

그래서 안에서 뭘 하는지 무슨 TV 보는지 어떤 가구를 쓰는지 어떤 음식도 먹는지 무 보니 다 너무 잘 보여 있는 나머지 자신들의 삶을 전시하는 것처럼 보여 지경이에요. 무슨 식당 아니야. 이거 사람 사는 거야 이거 실제로 이런 커튼 없는 창문은 미국 부자들의 새로운 상징이 되었는데요 최근 조사를 찾으면 2억 이상 는 사람이 3 4천만 원 는 사람들보다 커튼 열고 살 가능성이 두 배로 높다 이렇게 수입 수준까지 구체적으로 볼 수 있습니다. 근데 불안하지 않을까요.
2.10. 커튼 없는 집은 부자의 상징으로 여겨짐.

뭐 솔직히 누구 나이 동네로 올 수 있어요. 여러분도 이 동네로 올 수 있어요. 어 제가 왔잖아요. 그리고 아까 위험한 동네는 여기서 한 10분 거리였던 거 같아요.
되게 가 까 왔어요. 어떻게 이렇게 조심성 없이 살 수 있을까요. 정답 분 과실입니다. 물론 커튼 없이 사면 난방비가 좀 많이 들겠죠.
2.11. 중산층의 불안함과 부자의 자유가 대비됨.

근데 난 난방비 걱정 안 하는데 커들 없이 사면 프라이버시 없잖아요. 이미 난 프라이버시 없이 사는데 우리 집안에 뭐 요리사 청소부 우리 아이들이 과외 선생들 뭐 왔다 갔다 하는데 강도들이 들어오면 어떡해요. 괜찮아 한 달의 보비 만 불 만 내도 다 커버해 주는데 괜찮아 이상한 사람 들어갔어. 괴롭히면 어떡해 어 보라고 해 여기서는 경찰한테 전화하면 5천만 원이 오는데 그리고 뭐 찾아오면 뭐 뭐 할 수 있는데 걔한테 좋은 변화 사 있어 네 이렇게 커튼을 치지 않는 행동은 치한의 불안함 혹은 재정적 불안함으로 초월한 엄청난 재력의 상징입니다.
2.12. 커튼과 집 크기 외에도 계급 차이를 보여줌.

저 같은 중산 미국인이 봤을 때 위험하고 말도 안 되는 것처럼 보이는 것이 들에게는 자유 두려움 없음 그리고 재정적 안정을 의미하는 것이죠. 이렇게 보니 속이 투명하게 보이는 저 얇은 유리창이 돌러 사 온 뜨꺼 운 성벽 닿지 않나요. 아무도 함부로 다가갈 수 없고 함부로 도전할 수 없는 그런 성벽 말이에요. 아니 돌 성벽보다 더 든든해 보입니다.
2.13. 한국인도 이미 부자 스타일을 따르고 있음.

네 여러분 오늘 영상 어 땠어요. 재밌었어요. 정말 신기하죠. 저도 사실 영상을 통해서 많이 많은 것을 배웠습니다.
2.14. 낡은 집에 대한 표현도 문화적 차이를 반영함.

보통 그런 약간 계급층 차이를 좀 그 구별할 때는 뭐 집 사이즈 명품 가방 뭐 어떤 차이인지 이런 거 다 보잖아요. 근데 이 수보는 신기한 상징 있었다니. 저도 진짜 많이 놀랐습니다. 근데 어떻게 보면 은 저는 여 때까지 지금까지 무의식적으로 고 있었잖아요.
저는 역시 가난한 동네에서 왔군요. 이런 느낌 좀 들었습니다. 네 근데 생각해 보니까 저 마님이랑 같이 여기 처음 이사 왔을 때 몇 달 동안 저희는 아예 커튼이랑 뭐 블라 인 같은 거 없었습니다. 그동안 조희는 버튼도 없다 아 불쌍하다 이렇게 생각했지만 다시 생각해 보니까 그때 저희는 제일 부자였습니다.
그리고 한국인 여러분들은 이미 미국 부자 스타일로 고 있네요. 이미 슈퍼 리치 클 라스 야 플렉스 보소 오늘 집에 가셔서 창 문고 숨을 마시고 그리고 야 나는 부자 다라고 한번 말씀해 보세요 확실히 기분 좋아질 거예요. 아무튼 어내 낡았다 낡은 이런 뜻인데 보통 동네 혹은 차 놀이터 이 런에 해서 말할 때 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상하게도 세대서 런 다운이라고 하면 좀 이상하게 들립니다.
그래서 세대서 말할 때 런다운 이리고 하지 마 세요네 보통 약간 좀 크고 집 차 모니터 학교 교회 특히 건물에 대해서 말할 때 런다운 혹은 동네 런 다운이고 할 수 있습니다. ne is R 이렇게 말할 수 있습니다. 영상 마지막에 예문 있으니까 꼭 확인해 보세요 그럼 다음에 봐요. 바 바 오늘의 표현 낡은 R all have burg bars maybe we could buy that rundown house and sell it after fixing it up maybe we could buy that rund house and sell it after fixing It Up My first car was a very Run car because was All I could My first car was a very Run car Because it was All I could afford I can't believe my favorite childhood playground became so my Child playground became so Run 오기다.
3. 영상정보
- 채널명: 올리버쌤
- 팔로워 수: 2,260,000
- 좋아요 수: 2,347
- 조회수: 20,554
- 업로드 날짜: 2025-02-28
- 영상 길이: 22분 2초
- 다시보기: https://www.youtube.com/watch?v=_u1jbyVKm3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