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바이엘(Bayer)이 몬산토를 100조원에 매수한 이유. 몬산토(Monsanto) | 김병도교수의 비하인더머니 ep.88
한줄요약: 바이엘이 몬산토를 100조원에 매수한 이유
시간 | 요약 |
---|---|
00:03 | 몬산토는 2018년 바이엘에 의해 인수되었으며, 120년의 역사 동안 화학 산업과 농업 생명공학 분야에서 혁신적인 제품을 출시함. 인공 감미료 사카린, 해충 박멸제 DDT, 유전자 변형 작물 GMO 씨앗 등이 대표적인 제품임. 그러나 몬산토는 비난을 많이 받았던 기업으로, 부정적 이미지를 해소하는 데 실패한 것으로 보임. |
03:35 | 몬산토는 1901년 존 퀴니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사카린을 통해 빠르게 성장함. 에드가 퀴니는 CEO로 재직하며 인수합병을 통해 회사를 세계적인 화학 회사로 발전시킴. 특히, 중앙 연구소를 설립한 찰스 토마스는 몬산토의 연구 개발을 이끌며 중요한 역할을 함. |
06:34 | 몬산토는 DDT와 에이전트 오렌지 등 논란이 있는 제품을 생산했으나, DDT는 환경에 해롭다는 사실이 밝혀져 판매가 금지됨. 에이전트 오렌지는 미국 정부의 요청으로 생산되었으며, 이로 인해 많은 피해가 발생함. 몬산토는 법적으로 문제가 없지만 도덕적 책임은 피할 수 없는 상황임. |
09:34 | 1980년대 몬산토는 화학 회사에서 생명공학 회사로의 변화를 시도함.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생명공학 분야로의 전환이 필요했으며, 이를 위해 많은 화학 부문을 매각하고 생명공학 기업을 인수함. GMO 작물에 대한 투자로 미래 성장 가능성을 모색함. |
10:06 | 몬산토는 80년대 중반부터 유전자 조작 연구를 활발히 진행함. 1994년 미국 FDA는 몬산토의 GMO 제품을 처음으로 승인함. 이후 다양한 GMO 작물을 출시하여 한때 90%의 시장 점유율을 기록함. 현재는 경쟁 심화로 점유율이 16%로 감소함. |
11:04 | GMO에 대한 부정적 의견이 존재함. 일부 과학자와 환경론자들은 GMO 작물이 인체에 해를 끼칠 수 있다고 주장함. 그러나 과학적 연구는 아직까지 명확한 해를 입증하지 못함. 소비자들은 품종 다양성 훼손과 미래의 부작용에 대한 우려를 가지고 있음. |
12:06 | 몬산토는 GMO 기술을 동물보다는 식물에 적용하고, 식물 원료로 주로 사용되는 작물에 우선적으로 적용함. 예를 들어, 메탄올을 옥수수에서 추출하는 방식으로 GMO 옥수수를 재배함. |
12:35 | GMO 산업은 경제적 효과가 큼. 예를 들어, GMO 면화를 사용한 인도에서는 면화 살충제 사용량이 여섯 배 줄어듦. 현재 27개국이 GMO 작물을 재배하고, 70개국이 GMO 작물 수입을 허용함. |
13:04 | 2018년 바이엘이 몬산토를 100조 원에 인수함. 바이엘은 몬산토 제품의 브랜드는 유지하되, 회사명은 변경하기로 결정함. 몬산토의 부정적 이미지가 바이엘에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는 판단이 작용함. |
2. 스크립트
2.1. 몬산토는 2018년 바이엘에 의해 인수되었으며, 120년의 역사 동안 화학 산업과 농업 생명공학 분야에서 혁신적인 제품을 출시함. 인공 감미료 사카린, 해충 박멸제 DDT, 유전자 변형 작물 GMO 씨앗 등이 대표적인 제품임. 그러나 몬산토는 비난을 많이 받았던 기업으로, 부정적 이미지를 해소하는 데 실패한 것으로 보임.

제가 오늘 다룰 기업은 몬산토입니다. 몬산토는 미국 회사인데요, 2018년 독일 제약회사 바이엘이 인수하면서 그 이름이 이제는 역사 속으로 사라졌습니다. 하지만 이 회사는 지난 120년 동안 화학 산업과 농업 생명공학 분야에서 수많은 신제품을 출시한 대단한 기업입니다. 일반인이 알 만한 제품으로는 인공 감미료 사카린, 해충 박멸제 DDT, 그리고 보다 최근에는 유전자 변형 작물 GMO 씨앗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몬산토는 전 세계에서 가장 비난을 많이 받았던 기업이기도 한데요. 유튜브에서 몬산토를 검색해 보시면 몬산토는 세계에서 가장 사악한 기업인 것 같습니다. 하지만 그렇게 나쁜 기업이라면 바이엘이 100조 원이나 주고 몬산토를 인수하지 않았을 겁니다. 저는 오늘 그동안 비난의 대상이 되었던 몬산토 제품 중 일부를 간략히 소개할 텐데요.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몬산토가 어떤 범법 행위를 해서가 아니라 부정적 이미지를 해소하는 데 보다 현명하게 대응하지 못해서 이런 비난을 받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물론 제 개인적인 의견이지 판단은 당연히 우리 각자의 몫이지요. 자, 그럼 세계 최대 씨앗 판매 기업 몬산토의 비하인드 머니 시작하겠습니다. [음악] 몬산토는 1901년 존 퀴니가 설립한 회사인데요. 그는 세인트루이스에 있는 한 제약 회사에서 일하다가 42살에 창업을 한 것입니다. 몬산토라는 회사 이름은 아내의 이름을 딴 것이라고 합니다.
조금 특이하지요? 미국의 창업자들은 자신의 이름을 회사명으로 쓰는 경우는 많지만, 부인 이름을 쓰는 경우는 거의 없지요. 부인의 집안이 미국 중부 지방에서 꽤 이름이 알려진 명문가라서 그렇게 했다고 하더군요. 몬산토는 창업과 함께 사카린이라는 인공 감미료를 생산했는데, 당시 미국은 사카린을 유럽에서 주로 수입하고 있었습니다. 몬산토는 수입 대체 상품을 생산한 것이죠. 당시 코카콜라 같은 청량음료 회사가 다이어트 제품에 사카린을 쓰기 시작하면서 몬산토는 빠르게 성장했다고 합니다. 회사가 성장하면서 큐리는 카페인과 달콤한 바닐라 향이 나는 바닐린 같은 일반 식품 첨가물로 라인을 확장했다고 합니다.
1920년대에는 황산과 같은 기초 산업용 화학 물질 제조로 사업 영역을 확장했다고 합니다. 여기서 잠깐 몬산토가 판매한 최초의 제품인 사카린에 대해 얘기해야 할 것 같은데요. 사카린은 19세기 말 존스 홉킨스 대학의 한 과학자가 발견한 인공 감미료입니다. 사카린을 인공 감미료로 사용하는 가장 유명한 브랜드로는 스위트로가 있지요. 그런데 사카린의 유해성에 대한 논쟁은 20세기 초반부터 시작돼서 최근까지 이어지고 있는데요. 미국에서는 한동안 판매 금지를 하기도 했습니다.
2.2. 몬산토는 1901년 존 퀴니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사카린을 통해 빠르게 성장함. 에드가 퀴니는 CEO로 재직하며 인수합병을 통해 회사를 세계적인 화학 회사로 발전시킴. 특히, 중앙 연구소를 설립한 찰스 토마스는 몬산토의 연구 개발을 이끌며 중요한 역할을 함.

하지만 지금은 미국을 포함한 대부분 나라에서 별 문제가 없는 것으로 결론을 내리고 판매를 허용하고 있답니다. 요약하자면 사카린 판매에 대한 몬산토는 무죄라는 말입니다. 1928년 존 퀴니는 회사를 아들 에드가 퀴니에 물려주는데요. 에드가는 이후 약 30년 동안 몬산토의 CEO로 재직하면서 적극적인 인수합병을 통해 몬산토를 세계적인 화학 회사로 성장시킨 인물입니다. 그가 인수한 수많은 회사 중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아마도 1936년 오하이오주 데이턴에 있던 토마스 앤 호치 월드라는 연구소일 것입니다. 에드가는 이 연구소를 인수해서 몬산토의 중앙 연구소로 만들었습니다. 특히 이 연구소의 설립자인 찰스 토마스는 몬산토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 중 한 사람이 되는데요. 토마스는 나중에 에드가의 뒤를 이어 몬산토의 사장과 이사회 의장을 역임했고, 몬산토를 탁월한 연구 개발로 무장된 화학 회사로 만든 사람이 바로 토마스라고 해도 무방할 겁니다.
토마스는 MIT 출신의 유명한 화학자로 자신의 이름으로 100개 이상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던 사람입니다. 1943년 미국 정부는 그를 로버트 오펜하이머와 함께 맨해튼 프로젝트의 공동 책임자로 지명했다고 하는데요. 토마스는 자신이 살던 데이턴을 떠나는 것이 싫어서 이 제안을 거절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그는 대안으로 핵무기에 꼭 필요한 플루토늄 정제와 생산 업무를 몬산토 연구소 내에서 수행했다고 합니다. 그는 맨해튼 프로젝트가 종료된 후에도 정부가 요청하는 많은 프로젝트를 수행했다고 하는데요. 한마디로 그는 연구자로서 전문성도 탁월하고 국가관 역시 뚜렷한 사람이었던 것 같습니다.
토마스의 리더십 하에서 개발된 몬산토 제품을 일부 소개하겠습니다. 올이라는 브랜드의 세탁제를 개량하기도 했고, 바이엘과 함께 폴리우레탄을 생산하기도 했습니다. 1968년 몬산토는 DDT를 대량으로 생산하는 데 성공했고, 1960년대 중반에는 몬산토 연구원이었던 윌리엄 롤스가 파킨슨병 치료에 사용되는 최초의 화학 물질을 합성하는 데 성공하기도 했습니다. 그는 이 공로로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답니다. 이제부터는 이 시절에 출시된 몬산토 제품 중에 비난의 대상이 된 것들을 몇 개 소개하겠습니다. 그 첫째는 DDT입니다.
2.3. 몬산토는 DDT와 에이전트 오렌지 등 논란이 있는 제품을 생산했으나, DDT는 환경에 해롭다는 사실이 밝혀져 판매가 금지됨. 에이전트 오렌지는 미국 정부의 요청으로 생산되었으며, 이로 인해 많은 피해가 발생함. 몬산토는 법적으로 문제가 없지만 도덕적 책임은 피할 수 없는 상황임.

저는 어린 시절에 DDT를 뿌리고 다니던 트럭 뒤를 동네 친구들과 좋다고 따라 나선 기억이 납니다.. 4년 전에 처음 발견한 화학 물질인데요, 그런데 1939년 DDT가 곤충에게 치명적인 독성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발견되었지요. 이를 밝혀낸 스위스 화학자 파울 밀러는 그 공로로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했답니다. 1944년 몬산토를 포함한 15개의 미국 화학 회사들은 DDT를 제조하여 주로 살충제로 사용했지요. 그런데 한참 뒤에 DDT가 환경에 매우 해롭다는 사실이 밝혀지게 되면서 1972년 미국 정부가 판매를 금지했습니다. 금지 조치 이후에 당연히 몬산토는 더 이상 DDT를 생산하지 않았지요. 요약하자면, 몬산토는 운이 조금 좋지 않았던 것일 뿐 DDT 판매로 비난받을 이유는 별로 없어 보입니다.. 둘째로, 1960년대와 70년대 몬산토는 에이전트 오렌지라고 하는 제초제를 생산했는데, 이것은 미국에서 판매하기 위해서 만든 것이 아니라 미국 정부가 베트남에서 군사 작전을 수행하기 위해 몬산토를 비롯한 다수의 미국 화학 회사들에게 만들라고 요청한 것이랍니다.
당시 미군은 베트콩 게릴라 때문에 피해가 심했고, 이들 베트콩은 정글에 숨어서 마을 주민들에게 도움을 받기도 했지요. 그래서 미군은 엄청난 양의 에이전트 오렌지를 공중에서 살포하여 정글을 초토화한 것이지요. 이 때문에 수많은 베트남 사람들은 질병과 기형 출생으로 시달렸고, 종전 후에는 베트남 전쟁에 참여했던 미국 군인들과 한국 군인들 역시 피해를 입어 법정 다툼을 벌였고요. 미국 화학 기업들은 에이전트 오렌지의 부작용을 사전에 일부 알고 있었지만, 전쟁을 치르고 있는 미국 정부의 요청이 있었으니 이를 강행한 것이죠. 비난의 주체는 미국 정부라는 말이지요.. 셋째로, 몬산토는 1936년부터 PCB라는 화학 물질을 생산했는데, 이는 1881년 독일 과학자가 합성에 성공한 물질로 이후 오랜 기간에 걸쳐 다양한 사용 용도를 찾은 물질이랍니다.
가장 보편적인 사용처는 냉각제와 컨덴서의 단열제로 사용된다고 합니다. 그런데 30년대 후반부터 PCB의 독성에 대한 학술 논문도 발표되고, 산업 현장에서 피해 사례가 목격되기도 했답니다. 이들 증거들이 쌓이자 대부분의 미국 화학 회사들은 자진해 PCB 생산을 중단하기 시작했는데요, 그런데 몬산토는 제일 늦게까지 PCB를 생산하다가 1977년에 자발적으로 판매를 중단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2년 뒤에 미국 정부는 PCB 판매를 금지했고, PCB의 경우에 몬산토는 법을 어긴 것은 아니지만 도덕적 책임은 피할 수 없는 것으로 보입니다.. 1980년대 몬산토는 큰 전략적 변화가 있었는데요, 화학 회사 몬산토를 생명공학 회사로 변화시킨 것이 바로 그것이랍니다. 화학 기업 간의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마진이 많이 줄어든 점과 80년대부터 생명공학 분야가 빠르게 발전한 점을 고려한 선택이었다고 합니다.
이게 말은 쉽지만 정말 어려운 일이죠. 변신을 위해서 몬산토는 약 20여 년에 걸쳐 화학 부문을 매각하고 수많은 생명공학 기업을 인수했지요.
2.4. 1980년대 몬산토는 화학 회사에서 생명공학 회사로의 변화를 시도함.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생명공학 분야로의 전환이 필요했으며, 이를 위해 많은 화학 부문을 매각하고 생명공학 기업을 인수함. GMO 작물에 대한 투자로 미래 성장 가능성을 모색함.

이 과정에서 IMF 시절 세미니스라는 종자 회사로 인수되었고, 한국 종자 기업들 역시 몬산토로 넘어가게 되면서 몬산토 코리아가 된 것이지요.. 몬산토는 특히 GMO, 즉 유전자 변형 작물에 일찍부터 올인했는데요, 몬산토는 80년대 중반부터 식물 세포의 유전자 조작과 관련된 논문을 열심히 발표했고, 유전자 변형 식물에 대한 현장 실험을 수행하기도 했습니다. 1994년 미국 FDA는 몬산토의 GMO 제품을 처음으로 판매 승인했으며, 이후 몬산토는 다양한 종류의 GMO 작물을 시장에 출시하면서 관련 산업을 석권했답니다. 한때 몬산토는 GMO 산업에서 90%의 시장 점유율을 차지했다고 합니다.
2.5. 몬산토는 80년대 중반부터 유전자 조작 연구를 활발히 진행함. 1994년 미국 FDA는 몬산토의 GMO 제품을 처음으로 승인함. 이후 다양한 GMO 작물을 출시하여 한때 90%의 시장 점유율을 기록함. 현재는 경쟁 심화로 점유율이 16%로 감소함.

지금은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점유율이 16% 수준까지 축소되었지요.. 하지만 GMO 식물에 대한 부정적인 의견 역시 만만치 않은데요, 일부 과학자와 환경론자들의 이야기를 듣고 나서 저 역시 GMO 작물을 먹고 싶지는 않답니다. GMO 작물이 인체에 치명적인 해를 입힌다는 과학적 연구는 아직까지 거의 없지만, GMO 농산물 품종의 다양성을 훼손한다는 점과 우리가 모르는 부작용이 미래에 나타날 수도 있다는 점이 소비자를 불안하게 만드는 것이지요. 물론 자연에서도 끊임없이 유전자가 변형되는 현상이 스스로 일어나지요. 생명공학의 유전자 변형 기술은 이것을 실험실에서 보다 신속하고 우리에게 유리하도록 조작하는 것이고요. 하지만 일부 기업들은 완전히 다른 유전자를 섞는 일도 있다고 하는데요, 이런 것은 자연에서 일어나지 않는 일이죠. 이론적으로 GMO 기업과 비슷한 일을 하고 있는 크리스퍼, 즉 유전자 가위 기술을 연구하는 과학자들은 이종 간 유전자 치환에 대해서는 아주 보수적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하더군요. 이런 부정적 여론을 의식한 몬산토 역시 GMO 기술을 동물보다는 식물에, 그리고 식물 중에서도 우리가 직접 먹는 것보다 식물 원료로 주로 사용되는 작물을 우선적으로 적용하고 있다고 합니다.
2.6. GMO에 대한 부정적 의견이 존재함. 일부 과학자와 환경론자들은 GMO 작물이 인체에 해를 끼칠 수 있다고 주장함. 그러나 과학적 연구는 아직까지 명확한 해를 입증하지 못함. 소비자들은 품종 다양성 훼손과 미래의 부작용에 대한 우려를 가지고 있음.

예컨대, 휘발유 대체품으로 쓰이는 메탄올을 주로 옥수수에서 추출하는데, 그 옥수수 재배는 GMO 옥수수로 한다는 것이죠.. GMO에 대한 이런 부정적 견해에도 불구하고 그 산업 규모는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GMO의 경제 효과는 상상 이상이며, 예를 들어 해충 피해를 획기적으로 줄인 GMO 면화가 있습니다. 인도에서 이 면화를 사용하면서 면화 살충제 살포량이 여섯 배나 줄었다고 합니다. 이런 경제적 효과 때문인지 현재 27개 국가가 GMO 작물을 재배하고 있고, 70개 국가는 GMO 작물 수입을 허용하고 있다고 합니다.
2.7. 몬산토는 GMO 기술을 동물보다는 식물에 적용하고, 식물 원료로 주로 사용되는 작물에 우선적으로 적용함. 예를 들어, 메탄올을 옥수수에서 추출하는 방식으로 GMO 옥수수를 재배함.

정리하겠습니다.
2.8. GMO 산업은 경제적 효과가 큼. 예를 들어, GMO 면화를 사용한 인도에서는 면화 살충제 사용량이 여섯 배 줄어듦. 현재 27개국이 GMO 작물을 재배하고, 70개국이 GMO 작물 수입을 허용함.

2018년 독일의 제약회사 바이엘이 원몬산토를 우리 돈으로 거의 100조 원에 인수했습니다. 바이엘은 몬산토 제품의 브랜드는 대부분 그대로 유지하지만, 몬산토라는 회사명은 더 이상 사용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합니다.
2.9. 2018년 바이엘이 몬산토를 100조 원에 인수함. 바이엘은 몬산토 제품의 브랜드는 유지하되, 회사명은 변경하기로 결정함. 몬산토의 부정적 이미지가 바이엘에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는 판단이 작용함.

몬산토는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는 이름이지만, 그 이름이 갖는 부정적 이미지가 바이엘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것이죠. 몬산토가 기업 이미지 개선을 위해 과거에 보다 현명하게 대응했더라면, 어쩌면 바이엘에 회사를 매각할 필요가 없었을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오늘 영상은 이만 마치겠습니다..
3. 영상정보
- 채널명: 비하인더머니
- 팔로워 수: 1,800
- 좋아요 수: 24
- 조회수: 832
- 업로드 날짜: 2025-03-26
- 영상 길이: 13분 43초
- 다시보기: https://www.youtube.com/watch?v=8Dn9WS8Qqr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