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협의 세력 (feat. 무협물이란?)

1. 무협의 세력 (feat. 무협물이란?)

1. 1. 무협의 세력 (feat. 무협물이란?)

한줄요약: 1. 무협의 세력 (feat. 무협물이란?)
*타임라인을 클릭하면 이동/재생됩니다.
시간 요약
00:02 한국 무협은 중국 무협을 기반으로 독자적 설정을 발전시킴.
01:04 정파 내부의 부패와 위선이 조명되는 경우가 많음.
02:03 정파는 구파일방과 세가로 구성되어 강호를 수호함.
02:35 무림맹은 정파 연합 조직으로 분쟁 조율을 목적으로 함.
03:03 사파는 정파와 대립하며 자유롭고 실리를 추구함.
03:36 강호의 세력은 정파, 사파, 마교로 나뉘어 있음.
04:33 세외 무림은 중원과 다른 독자적인 문화를 지님.
05:04 황궁은 암투를 벌이는 세력으로 등장함.
05:34 암중 세력은 비밀 결사 형태로 등장함.
06:04 정파, 사파, 마교의 스파이를 침투시키는 경우가 많음.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2. 스크립트

무협이란 무공을 익힌 무예인들이 협의를 행하는 이야기다.

2.1. 한국 무협은 중국 무협을 기반으로 독자적 설정을 발전시킴.

한국 무협은 중국 무협을 기반으로 독자적 설정을 발전시킴.
Fig.1 - 한국 무협은 중국 무협을 기반으로 독자적 설정을 발전시킴.

주로 명나라 초중반에 가상의 중국을 배경으로 하며, 몽골 침입 이후부터 총기가 보급되기 전 시기를 다루는 경우가 많다. 1950년대에는 김용, 양우생, 와룡생 등의 작가들이 등장하며 무협 소설의 중기가 시작되었다. 영화, 드라마, 만화로 제작되며 중국, 대만, 한국, 베트남 등에서 인기를 끌었다. 한국 무협의 본격 세계관은 중국 무협에서 가져왔지만, 디테일한 설정은 독자적인 노선으로 발전했다.

화산파의 트레이드마크인 매화나 남궁세가의 창국 무예, 건법, 재왕검 등은 한국 1세대 무협 작가들이 창작한 설정이다.. 강호의 세력에는 흔히 정화로 불리는 3대 세력, 즉 정파, 사파, 마교가 있다. 그 밖에도 새해림이나 황실, 암중 세력 등이 있다.



2.2. 정파 내부의 부패와 위선이 조명되는 경우가 많음.

정파 내부의 부패와 위선이 조명되는 경우가 많음.
Fig.2 - 정파 내부의 부패와 위선이 조명되는 경우가 많음.

정파는 주로 구파일방과 세가로 이루어진 강호를 수호하기 위한 세력이다. 도라고 부르기도 한다. 초기에는 정파가 절대적인 선, 사파가 절대적인 악으로 묘사되었으며, 신무협 이후에는 정파 내부의 부패와 위선을 조명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예를 들면, 기득권을 유지하기 위해 음모를 꾸미거나 사파보다 더 악랄한 행동을 하거나 권력 창출을 위해 정사 대전을 일으킨다는 식이다..

무공의 특징은 안정적이지만 초기 성장 속도가 느리다. 그러나 일정 경지를 넘어서면 사파를 압도하는 강한 무공을 가질 수 있다. 구파 일방은 불과 도가 계열의 무림 문파로, 혈 중심인 무림 세가와 달리 무공의 전승을 기반으로 하는 집단이다.



2.3. 정파는 구파일방과 세가로 구성되어 강호를 수호함.

정파는 구파일방과 세가로 구성되어 강호를 수호함.
Fig.3 - 정파는 구파일방과 세가로 구성되어 강호를 수호함.

종교적 성향이 강해 이익을 직접적으로 추구하지 않으며, 기부금을 주후 재원으로 삼는다. 무림 세가는 구파일방과 함께 무림을 이끄는 주요 세력으로, 주요 5대 세가 또는 7대 세가 개념이 사용된다. 지역 호적 성격이 강해 정당한 무인 감원으로 묘사되기도 하고, 권력을 남용하는 부패 세력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부파는 일반과 달리 표국, 상업, 농업 등 다양한 경제적 기반을 보유하며, 이로 인해 정파에도 이기적이고 타산적인 면모가 강조되는 경우가 많다.



2.4. 무림맹은 정파 연합 조직으로 분쟁 조율을 목적으로 함.

무림맹은 정파 연합 조직으로 분쟁 조율을 목적으로 함.
Fig.4 - 무림맹은 정파 연합 조직으로 분쟁 조율을 목적으로 함.

때로는 사마 외도로 몰락하는 전개로 이어지기도 한다. 대표적인 가문으로는 난공 세가, 사천당가, 하북팽가, 모용세가, 제갈세가, 황보세가 등이 있다. 무림맹은 정파 연합 조직으로, 무림 분쟁 조율과 사파 견제를 목적으로 한다.

2.5. 사파는 정파와 대립하며 자유롭고 실리를 추구함.

사파는 정파와 대립하며 자유롭고 실리를 추구함.
Fig.5 - 사파는 정파와 대립하며 자유롭고 실리를 추구함.

구파 일반과 강대 문파들이 중심이 되어 운영하며, 맹주의 실권은 작품마다 다르다. 권력 집단으로서 흑망 역할을 하거나, 사파보다 더한 악으로 등장하는 경우도 많다.. 사파는 정파와 대립하는 무리로 흑도로 묘사되었으며, 현대 무협에서는 자유롭고 실리를 추구하는 무리로 재해석되는 경우가 많다. 정파와 자주 충돌하며, 전쟁 규모로 번지면 정사 대전이라 불린다.



2.6. 강호의 세력은 정파, 사파, 마교로 나뉘어 있음.

강호의 세력은 정파, 사파, 마교로 나뉘어 있음.
Fig.6 - 강호의 세력은 정파, 사파, 마교로 나뉘어 있음.

사파 연합이 등장하는 경우는 드물며, 연합이 되더라도 결속력은 낮은 편이다. 사파 내에서도 농림, 장수, 체, 살막, 하오문 등 다양한 집단이 존재한다. 마교, 혈교 같은 사교 조직은 성격이 다르며 상호 적대적인 경우도 많다.. 사파의 무공은 빠르게 강해질 수 있지만, 극단적인 부작용과 불안정성이 크며 독공, 사술, 외공 등 변칙적인 기법으로 활용하는 경우가 많다.

마교는 만대산 또는 천산 산맥을 근거지로 하는 강력한 무림 집단으로, 마신 또는 천마를 숭배하며 마공을 익히는 세력이다. 작품에 따라 정파, 사파와 대립하는 대리파밍 대산의 위치는 대개 두 가지로 나뉘는데, 베트남과 붙어 있는 신만 대산과 볼륨파 근처에는 천산 산맥이 있다.

2.7. 세외 무림은 중원과 다른 독자적인 문화를 지님.

세외 무림은 중원과 다른 독자적인 문화를 지님.
Fig.7 - 세외 무림은 중원과 다른 독자적인 문화를 지님.

역사상 모티브가 된 백년의 잔당들은 천산 산맥 부근에 살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세외 무림은 중원을 벗어난 외지 무림 세력을 가리킨다. 중원과 다른 독자적인 무공과 무림 문화를 보유하며, 지역 특색을 반영한 무공이 등장한다. 중원의 구파일방, 모대 세가에 비해 위상이 낮게 묘사되는 경우가 많으며, 주로 조력자나 악역으로 등장한다.



2.8. 황궁은 암투를 벌이는 세력으로 등장함.

황궁은 암투를 벌이는 세력으로 등장함.
Fig.8 - 황궁은 암투를 벌이는 세력으로 등장함.

주요 세력으로는 단만, 몽고, 북해, 천축, 해남, 해동, 동형 등이 있다. 무협 세계관에서 황궁은 중요 요수는 아니지만, 암투를 벌이는 세력으로 등장하는 경우도 있다. 내공을 다루는 무림인들에게 황실의 군사력은 큰 위협이 되지는 않지만, 황궁이 등장하는 경우 금위, 동창, 서창 같은 특무 기관이 강력한 세력으로 묘사되며 주로 악역으로 활용된다.. 금미 2는 황제 직속 비밀 경찰로, 막강한 무력을 지닌 특무 기관이며 체포, 고문 등의 초법적 권한을 행사한다.



2.9. 암중 세력은 비밀 결사 형태로 등장함.

암중 세력은 비밀 결사 형태로 등장함.
Fig.9 - 암중 세력은 비밀 결사 형태로 등장함.

동창은 금와 비슷한 역할을 하지만 더 넓은 영향력을 지니며, 주로 환관들로 이루어진 정보 기관이다. 정파, 사파, 마교 어디에도 속하지 않은 제삼 세력이자 비밀 세력으로 등장할 경우, 대부분 작품 전체를 통하는 흑막이자 만악의 근원으로 묘사된다. 암중 세력의 수장이 곧 작품의 최종 보스이다.

2.10. 정파, 사파, 마교의 스파이를 침투시키는 경우가 많음.

정파, 사파, 마교의 스파이를 침투시키는 경우가 많음.
Fig.10 - 정파, 사파, 마교의 스파이를 침투시키는 경우가 많음.

오랜 세월 동안 조직의 목적을 위해 비밀 결사 형태로 은밀하게 힘을 길렀다는 설정이다. 정파, 사파, 마교의 스파이를 침투시킨 경우가 많으며, 분쟁을 일부러 유발해 정사 대전을 일으키려고 하는 경우가 많다..


3. 영상정보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댓글 쓰기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