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지식뉴스 EP.31] 트럼프의 조급함에 "달러 붕괴, 시작됐나"...중국이 금을 사들이는 진짜 이유 (ft.오건영 신한 프리미어 패스파인더 단장) / 교양이를 부탁해
한줄요약: 트럼프의 조급함과 달러 붕괴의 시작, 중국의 금 매입 이유
시간 | 요약 |
---|---|
02:02 | 미국의 금리가 상승하면 일반적으로 달러가 강해지지만, 현재는 금리가 오르면서도 금값이 상승하는 비정상적인 상황임. 이는 투자자들이 금을 안전 자산으로 보고 있다는 것을 의미함. |
02:31 | 금은 이자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금리가 높아지면 채권이 더 매력적으로 보임. 그러나 최근에는 주가와 채권 가격이 동시에 하락하면서 금값이 상승하는 트리플 약세 현상이 발생함. |
03:32 | 미국의 통화 정책과 달러의 가치 하락이 금 매입을 촉진함. 중국과 러시아는 외환 보유고를 줄이면서 금을 매입하는 경향을 보임. |
04:03 | 중국은 미국과의 관계에서 외환 보유고를 줄이면서 금을 매입하는 전략을 취하고 있음. 이는 달러의 신뢰성 저하에 대한 대응으로 해석됨. |
06:01 | 지정학적 리스크가 커지면서 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같은 사건들이 금값을 끌어올리는 요인으로 작용함. |
13:03 | 금과 달러의 관계는 복잡하며, 현재의 경제 상황에서 금은 더욱 중요한 자산으로 부각되고 있음. 이는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을 반영함. |
2. 스크립트
아니지 않냐? 그러니까 미국 국채가 중앙은행들이 달러 말고 무언가 다른 것을 사야 됩니까? 산 다음에 사야 됩니까? 경찰이 아니라고 얘기하죠. 알아서 전쟁 난다 이런 말씀이 아니라 언제 이상하지 않죠? 그러면 지금 왜 금값이 뛰죠? 뭐로 설명할 수 있어요? 오르냐면 달러가 약해질 때 조금 독특하게 올라요. 진짜 거의 오르는 케이스가 별로 없거든요. 지난주에 마켓이 되게 30년짜리 국채 금리가 5 가까이 뛰는 속도가 되게 빨랐어요. 잠깐 말씀드려 보면 미국의 금리가 보통 일반적인 케이스에서는 미국이 이자를 더 준다는 거예요. 그럼 달러가 늘어날 테고 달러가 강해지겠죠.그래서 올라야 돼요. 맞죠? 두 번째는 골드값이 골드를 하나의 화폐라고 생각해 보세요. 골드 통장이 있어요. 그런데 그 골드 1년에 없어요. 금은 이자를 안 줘요. 기업이 번 걸 배당이라는 형태로 알을 낳지만 금은 아무것도 안 나와요.
그러면 채권의 금리가 높아지면 금보다 나을까요? 그러면 미국 금리가 확 뛰면 인기가 많을 거지 않습니까? 그럼 금이 올라가잖아요. 미국 금리가 오르면 보통 일반적인 케이스예요. 그런데 오르는 게 아니라 확 빠지고요. 금값이 뛰더라고요. 여기에서 되게 중요한 점은 주가가 조금 빠졌죠. 그죠? 그래서 그다음에 금리가 뛴다는 건요, 채권의 저한테 돈을 안 빌려 주시는 거거든요.
해야 될까요? 금리를 더 높게 들려야 한다는 얘기는 뭐냐면 미국에 채권 가격이 마지막으로 여기 보시면 달러가 미국의 통화죠. 그래서 미국의 통화, 잠깐만요. 세 개 연결해 보면 주가가 빠지고 채권이 빠지고 개가 하락했죠. 이런 걸 어려운 말로 트리플 약세라고 해요. 빠지잖아요. 그리고 주가도 빠지고요.
그럼 볼게요. 그럼 이게 왜 나왔느냐? 그렇게 팔고서 뭐가 나왔겠어요? 미국 나오겠죠. 이 달러를 갖다가 세를 샀겠죠. 다른 무언가에 뭐가 들어갈까요? 혹시 들어보셨어요? 달러의 대안으로 들어왔겠죠. 그리고 같으세요? 여기 이제 골드가 들어가는, 이제 트리플 약세라고 해 가지고요. 전후해 가지고 오 뉴스 플로우가 얘기들이 나오냐면 미국 나오는 거죠.
왜냐하면 미국 국채를 팔고 이상 기축 통화국이 아니지 않냐는 거죠. 가치가 추락하게 되면 그럼 금과 달러의 관계를 어떻게 보시는지, 골드가 어떤 특징을 가진 친구인지를. 그럼 이 골드라는 친구가 최근에 옳은 보면 골드는요, 첫 번째는 지정학적 반응을 해요. 그래 가지고요, 많이 올랐었냐면 혹시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이 탁 터지니까 확 하마스 기억나세요? 그 하마스에서 금가격이 뭐 확 뛰어요. 그리고 작년에 교전했던 거, 리스크가 커지게 되면 금가격이 뛸 수 있어요. 우리가 예를 들어 일반적인 투자자면 세계의 경찰 역할을 하고 싶어 하나요? 얘기하나요? 미국이 아니라고 얘기하죠.
그러면 경찰이 없는 거지 않습니까? 찾아오나요? 아니면 좀 불안할 것 같지 않나요? 언제 어디서 자잘한 분쟁이 일어날지 모르니까 사람들이 골드를 갖다가 투자하는, 어떻게 터질지 모르는 지정학적 해치하기 위해서 골드에 대한 수요가 골드 가격을 끌어올리는 요인이 될 수 있어요. 요즘도 많이 골드 매입을 좀 늘리고 있어요. 각국, 러시아하고 우크라이나하고 전쟁을 선진국들이요. 러시아에 대해서 봉쇄가 있었지만 그중에 어떤 페널티가 많아요. 기름을 많이 팔아서 외환이 있거든요. 그런데 이 중에 달러가 러시아 놓고 뭐 이것저것 다 사 놨을 거라고요.
그 뭐 얼만지 모르겠지만 한 해 볼게요. 그럼 3억 달러는 러시아 해외에 있잖아요. 이걸 갖다가 동결을 버립니다. 이걸 동결시킨다는 얘기는 그때 당시에 22년도에 나왔던 뉴스가 나중에 전쟁 끝나면 돈으로 나왔던 거예요. 아, 물론 나왔을 때 그때 당시 미국 재무부 통과시켜야 될 것 같잖아요. 왜 신중합시다 이런 얘기를 해요? 왜 신중해야 될까요? 잠깐 생각해 들어가게 되면 큰 돈이 한 순간에 버리잖아요.
미국하고 뭔가 틀어지게 생기죠. 중국은 외환 보유고가 3조가 아닙니까? 그런데 미국이랑 만약 있지 않습니까? 이게 선례를 남기는 거예요. 그러면 우리가 만약 싶을까요? 아니면 조금씩 조금씩 줄이고? 그래서 10년 전에는 중국이 미국 살살살살살살살살살살살살살 줄인다고 따로 숨겨 놓고 있다. 뭐 이런 여러 가지로 더 많이 늘리지는 않는 것 같아요. 그러진 않는 것 같아요. 그러면 이거는 역할을 하죠.
대신에 뭘 담아야 될 것 많이 산다. 뭐 이런 얘기 혹시 중국에 사서 올랐을 그런 얘기는 될 수가 있는 거죠. 그래서 중앙 얘기들도 나오고 있는 거거든요. 그다음에 세 번째 중요한 포인트는 왜 제가 요런 얘기를 하나 해 드릴게요. 신한은행에 2003년도에 들어갔어요. 제가 이제 금고 지기를 했는데 시작이 됐어요.
들어가서 딱 두 달 이렇게 만져봤어요. 금고직이니까 골드 1kg짜리는요, 골드바 있는 거하고 통장으로 찍어 놓은 세상에 스트레스가 사라져요. 아, 이 골드 이렇게 작은 것도 갖고 있어요. 그거는 사람이 이게 말로 형관할 수 있어요. 이때 만약에 제가 선견 지명이 있어서 금고에 넣었다고 생각해 볼게요. 2025년도에 이렇게 꺼냈다고 금가격이 온스....
당 재기업에 350달러를 투자했어요. 이때 환율이 1,200원 정도 됐죠. 그럼 이제 금을 이렇게 끝냈어요. 일단 온스당 얼마가 됐냐면, 해요. 그게 열 배 뛴 거잖아요. 그리고 40원 정도 뛴 거죠.
열 배 넘는 장사죠. 아, 그러니까 저도 그 생각해요. 근데 하고 싶은 게 아니고요. 잠깐만 여쭤볼게요. 마이크로소프트라는 주식을 사요. 지금 이때 마이크로소프트와 지금의 다른 기업이죠.
구조 자체가 다르잖아요. 시작해서 기술이 다르죠. 이때 애플과 나오기 전이었어요. 그렇죠? 그 주가를 볼게요. 이때의 금과 지금의 금은 넣어 놨다가 드디어 20년 만에 뭐가 달라졌을 것 같아요. 금을 좋아하는 분은 안 계시죠? 금값이 뛰죠.
뭘로 설명할 수 있을까요? 왜 나온 거예요? 이때는 금일론과 지금 얼마가 도는 거예요? 예, 이렇게 거예요. 그만큼 달러 가치가 떨어진 거죠. 달러의 가치가 떨어지기만 하면요, 골드와 달러의 관계를 물어보셨잖아요. 일반적으로. 근데 지금 어떤 얘기가 떨어지게 되면 단기로는 모르겠지만, 적어도 중국이나 러시아가 외환 같지 않으세요? 그럼 덜 담은 만큼 자산들을 채울 때, 그중에 옵션으로 우리가 예를 들어서 투자자라면, 다른 대안을 찾고 있다면 그들이 사게 되나요? 예, 그래서 요즘 보면 이제 중에 하나도 요런에 대한 선취매 정도는 작용하고 있는 것 같아요. 이제 바라볼 때는요, 여러 가지 이것, 이제 달러와의 관계를 물어보셔서 영향을 주는 요인만 설명해 드렸지, 그다음에 금광을 어느 정도 금의 특성도 봐야 되는데, 그중에서도 되는 요인, 이게 달러와 금의 관계예요.
만약에 미국 달러가 빠르게 신뢰를 잃을 것 같으세요? 휘청휘청할 수 있죠. 이제 관세 문제가 조금 완화되는 것들을 반복하게 되죠. 예를 들어서 달러가 너무 세지잖아요. 그럼 금이 또 그래서 우리가 이제 금을 바라볼 때 달러와의 관계도 함께 볼 필요가 있습니다.
교양의 부탁께는 여기서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3. 영상정보
- 채널명: 교양이를 부탁해
- 팔로워 수: 139,000
- 좋아요 수: 1,136
- 조회수: 30,874
- 업로드 날짜: 2025-05-05
- 영상 길이: 14분 22초
- 다시보기: https://www.youtube.com/watch?v=_N1hv1yGfV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