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그리고 오너들이 주가를 낮추려고 노력하는 이유 (상속세 편)
한줄요약: 그리고 오너들이 주가를 낮추려고 노력하는 이유 (상속세 편)
시간 | 요약 |
---|---|
00:02 | 코리아 디스카운트는 북한의 위협이 아닌 기업 오너들의 경영 방식에서 발생함. 오너들은 주가 상승을 원치 않으며, 이는 상속세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 상속세가 높아지면 오너들은 주가를 억제하려는 경향이 있음. |
00:18 | 코리아 디스카운트와 상속세의 관계는 복잡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급진적인 방법이 필요할 수 있음. |
00:32 | 한국의 기업 오너들은 가족 경영을 통해 회사를 운영하며, 이는 전문 경영인 체제를 가진 미국 기업과 대조됨. 오너들은 주주를 고려하지 않고, 자신들의 이익을 우선시하는 경향이 있음. |
01:47 | 한국의 오너들은 자녀에게 회사를 물려주며, 이는 경영 능력과 무관하게 이루어짐. 이로 인해 상속세 문제가 더욱 복잡해짐. |
03:18 | 상속세가 높아지면 오너들은 주가 상승을 억제하고, 이는 기업의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 |
03:32 | 미국의 경우, 창업주 가족들이 경영에서 물러나 배당금만 받는 문화가 형성됨. 이는 상속세가 낮기 때문임. |
03:49 | 상속세가 폐지된다면 주주들은 오너에게 경영에서 물러나라고 요구할 수 있음. 그러나 현재는 오너들이 상속세를 고려해 주가를 억누르고 있음. |
04:17 | 상속세 폐지는 많은 사람들에게 거부감을 일으키며, 이는 정치적 논란을 초래할 수 있음. |
04:48 | 상속세 폐지는 사회적 반발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이는 정치적으로도 복잡한 문제임. 상속세가 코리아 디스카운트에 영향을 미치는 이유가 됨. |
2. 스크립트
국장을 얘기할 때 많이 언급되는 단어가 있죠. 코리아 디스카운트. 코리아 디스카운트가 왜 발생하냐고요? 북한의 위협일까요? 아닙니다. 코리아 디스카운트에서 가장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은 바로 기업의 오너들입니다. 오너들은 기업의 주가가 올라가는 걸 별로 원치 않는다는 거예요. 아니, 자기가 가지고 있는 주식이 오르면 좋지 않나라고 생각하실 수도 있겠지만, 사실 이게 좀 많이 복잡한 문제입니다.그리고 이 문제는 상속세와도 연결이 돼 있고요. 자, 오늘은 그런 의미에서 코리아 디스카운트와 상속세의 관계에 대해서 얘기를 해 드리겠습니다. 우리나라 기업과 미국 기업의 가장 큰 차이를 얘기하려면 보통 이게 언급되는 것 같아요. 우리나라는 창업적인 가족들이 경영에 직접 개입해서 회사를 끌어가는 오너 경영 시스템이고요. 미국 같은 경우는 전문 경영인 체제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뭐, 우리나라에서도 전문 경영인 체제가 없는 건 아니지만, 미국에 비하면 정말 그 비중이 굉장히 낮죠.
그러다 보니까 나온 말이, 우리나라 기업들은 미국 기업들에 비해서 주주를 전혀 생각하지 않고 있다는 겁니다. 사실 상법상으로도 그렇고, 주식 회사라는 관념에서 봐도 그렇고, 회사의 주인은 주주입니다. 그런데 오너 기업 입장에서 그런 말이 나오는 거예요. 누가 왜 회사의 주인이야? 내가 혹은 우리 가족이 차리고 여기까지 이끌어왔는데, 너네는 그냥 돈 되는 사람들이지. 넌 그냥 주가 원리라고 시끄럽게 떠드는 사람들이지. 이런 반응이 나온단 말이에요.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그 현상을 비판하고, 이럴 거면 국장을 떠난다. 뭐 이런 말까지 나오고 있는 상황이죠. 미국 기업들은 주주의 눈치를 엄청 봅니다. 주가에 따라서 배당금을 얼마나 지급하느냐에 따라서 회사 실적이 얼마나 좋냐에 따라서 회사 경영진들의 모가지가 왔다 갔다 할 수 있거든요. 그럼 회사를 창업했던 창업주의 가족들은 다 어디로 갔나? 다 그대로 있긴 합니다. 다 회사의 주식을 보유하고요.
보통 가족 단위로 운영되면서 이사회의 이원으로 물러나 있는 경우가 굉장히 많아요. 포드 같은 경우도 여전히 포드 일가가 회사 주식을 보유하고 있는데, 지금 현재는 이사회로 물러나 있는 상황이죠. 실질적으로 경영에 개입을 하진 않아요. 그런데 우리나라는 어떤가요? 실질적으로 경영에 개입을 합니다. 2세, 3세, 4세까지 막 물려주잖아요. 그럼 사람들이 이제 그렇게 비판을 하는 거예요.
아니, 왜 물려주느냐? 그 사람이 뭐 잘하는 게 있다고? 진짜 경영을 잘하는 사람한테 회사를 맡겨야 되는 거 아니냐? 이렇게 회사를 자기 자식들한테 물려주다 보니까 발생한 문제가 뭐냐? 바로 상속세입니다. 상속세가 있다 보니까 기업 오너들은 상속세를 줄이기 위해서라도 회사 주식이 오르는 걸 오히려 억누를 필요가 있다는 거예요. 배당도 주기 싫습니다. 배당은 주주들이랑 나눠야 돼요. 그걸 왜 주주랑 나눕니까? 그냥 내가 다 먹으면 되지. 그래서 어떻게 하느냐? 관계사를 가족 소유로 넘겨서 거기로 이익을 빼거나, 아니면 경영에 직접 개입해서 임원이나 사장 자리를 한 자리씩 차지하면서 높은 급여를 받는 거예요.
그런 식으로 돈을 봅니다. 이러다 보니까 미국과 우리나라는 회사가 돌아가는 방식이, 그리고 주주를 고려하는 방식이 정 반대로 흘러갈 수밖에 없는 상황인 거예요. 근데 그건 있습니다. 미국은 주마다 조금씩 다르긴 하지만 거의 상속세가 거의 없다시피 합니다. 아, 진짜입니다. 그런데 우리나라 경우에는 굉장히 고율의 상속세를 물리고 있죠.
물론 상속세가 가지는 사회적인 의미가 있긴 있어요. 부자의 자식으로 태어났던 것만으로도 왜 그렇게 불을 독점해야 하는가? 이 질문에 대한 답은 사람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다를 수 있기 때문에 그런 것 때문에 상속세를 계속 높게 유지하고 있긴 한데, 문제는 이렇게 상속세가 높다 보니까 오너 가족들로서는 미국 기업의 창업주 가족들처럼 경영 뒤로 물러나서 그냥 배당금만 받을 이유가 없는 거예요. 왜냐하면 상속을 하면 할수록 내가 가진 물려받은 자산이 반토막, 반토막이 납니다. 그러면 회사 주식을 물려받는 입장에서는 절대 뒤로 물러나질 못해요. 왜냐하면 주가가 오르면 오를수록 내야 하는 상속세가 더 높아지다 보니까 뒤로 물러나기보다는 현업에 참여해서 급여를 받아 가지고 그걸로 어떻게든 최대한 상속세를 마련하고 주가도 억눌러야 되는 거예요.
한마디로 이 모든 게 주주에게 좋지 않은 상황인 겁니다. 미국에서 2세, 3세 오너 경영을 잘하지 않는 건 바로 이런 이유도 있는 거예요. 애초에 회사 경영이 나랑 잘 맞지 않는 것도 있고, 사실 물려받은 돈이 많고 벌어먹고 살기에 충분하다면 회사 경영보단 그냥 내가 하고 싶은 일을 하는 거죠. 뭐, 포커스를 맞추는 거예요. 그러다 보니까 창업주의 가족들이나 후손들이 경영에 직접 참여하지 않고 뒤로 물러나서 배당금 받으면서 이 사회의 멤버로서만 활동하는 게 주로 그렇게 하나의 문화가 돼 버린 거죠. 그런데 우리나라는 상속세 때문에 그게 안 되는 겁니다.
그래서 상속세가 만약 없어진다면 주주들.... 입장에서는 오너에게 요구를 할 수 있어요. 능력 없는 주주는 경영에서 뒤로 물러나고 퇴진하라고 요구할 수 있습니다. 주가를 올리려고 더욱 과감하게 요구할 수 있어요. 물론 지금은 모든 기업의 오너들이 상속 시즌이 다가올수록 주주들의 요구를 무시하고 자꾸 억누르고 있긴 합니다. 어쨌든 그런 환경이 바뀌어야만 이런 요구도 가능해진다는 거죠.
물론 기업 집단이 그렇듯이 상속세가 폐지되면 그것만 받아먹고 입을 닦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결국 뒤를 쳐야 하는 상황입니다. 이런 식으로 이건 정치권이 해결해야 할 일이기도 하고요.. 자, 문제는 상속세를 폐지하는 것이 생각보다 쉽지 않다는 겁니다. 왜냐하면 상속세를 폐지한다는 것은 많은 사람들에게 굉장히 큰 거부감을 일으키거든요.
상속세 폐지, 이건 말만 나오기만 해도 엄청나게 사람들에게 논란이 될 거예요. 부자들을 더 부자로 만들어 주자고? 어떻게 네가 그럴 수 있어? 피도 눈물도 없는 놈, 부자를 위해서 일하네, 뭐 이런 식의 말들이 막 쏟아질 겁니다. 만약 기사가 뜨면 댓글에서 난리가 날 거예요.
상상만 해도 끔찍합니다. 그러다 보니까 상속세 폐지도 사실 쉽지 않은 거예요. 상속세 하나 때문에 이렇게 얽혀 있는 것들이 너무 많습니다.
어떻게 보면 그래서 상속세가 코리아 디스카운트에까지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는 거고요. 그리고 오너들이 회사에서 물러나지 않는 이유도 어떻게 보면 여기에 영향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주식이 많으면 뭐합니까? 당장 가진 현금이 없는데, 현금이 없으면 결국 회사에 붙어서 수익을 내야죠.
돈을 벌어야죠.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얘기할 때만 느끼는 거지만 참 복잡한 문제입니다. 정말 쉽게 풀기 어려운 문제예요.
그런데 이런 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때론 급진적인 방법도 필요하지 않나라는 생각도 듭니다.. 자, 오늘은 짤막하게 코리아 디스카운트와 상속세의 관계에 대한 이야기를 해봤습니다. 정말 논쟁적인 주제라서 사실 댓글이 안 좋을까 봐 좀 걱정도 되긴 하는데요.
아무튼 잘 부탁드리고, 제가 그렇다고 대기업들한테 돈을 많이 받아먹고 그런 건 아니니까 너무 미워하지는 말아 주시고, 이런 의견도 있다는 걸 이해해 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자, 그럼 저는 다음에 또 재밌는 이야기로 찾아뵙겠습니다..
3. 영상정보
- 채널명: 김바비의 바비위키
- 팔로워 수: 88,700
- 좋아요 수: 314
- 조회수: 7,636
- 업로드 날짜: 2025-03-24
- 영상 길이: 5분 48초
- 다시보기: https://www.youtube.com/watch?v=UYa7MBdgK-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