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한국콜마는 어떻게 전 세계 선크림 시장을 장악했나|대기만성's
한줄요약: 한국콜마의 선크림 시장 지배력
시간 | 요약 |
---|---|
00:02 | 한국의 선크림 시장은 세계 3위로, 인당 구매액이 평균의 50배를 넘음. |
00:32 | 한국인은 선크림 사용이 일상화되어 있으며, 외국인과의 사용량 차이가 큼. |
01:02 | 한국콜마는 선크림 분야에서 압도적인 경쟁력을 보임. |
01:32 | 한국콜마는 1990년 윤동환 회장이 설립한 최초의 화장품 ODM 회사임. |
02:02 | 일본 콜마와의 협력을 통해 기술과 자금을 확보함. |
02:34 | 한국콜마는 화장품 제조 외에도 용기 제조와 제약 사업을 운영함. |
03:03 | 한국 본사에서 매출의 80%를 창출하며, 선크림 비중은 약 30%임. |
03:17 | 한국콜마의 주가는 선크림 주문에 따라 변동성이 큼. |
03:49 | SPF 표기 논란으로 인해 한국콜마의 제품 신뢰도가 높아짐. |
04:19 | 한국콜마의 시장 점유율은 2011년 36%에서 2023년 70%로 증가함. |
04:34 | 공장 가동률이 100%를 넘어서 비정상적인 상황임. |
05:34 | 미국에 선크림 전용 공장을 세우기로 결정함. |
05:49 | 미국 공장은 추가 주문을 유도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음. |
06:18 | 한국 선크림은 미국에서 가장 많이 판매되고 있으며, 기능성 화장품 역할도 함. |
06:33 | 세계 선크림 시장은 2020년 77억 달러에서 2023년 115억 달러로 성장함. |
06:48 | 한국콜마의 선크림 판매 증가로 시장 규모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됨. |
2. 스크립트
한국의 선 크림 시장 규모는 미국 중국 다음가는 세계 3위에 이름을 올렸어요. 전 세계 인구 1등인 인도나 이웃 국가인 일본보다도 선 크림을 많이 팔았습니다.2.1. 한국의 선크림 시장은 세계 3위로, 인당 구매액이 평균의 50배를 넘음.

그만큼 한국인이 선 크림을 많이 사서 쓴다는 얘기겠죠. 이게 얼마나 많은 것이냐.
하면요 1 인당 연간 구매 액이 9 5,000원인데 세계 평균이 1841입니다. 평균에 50 배가 넘어서 이 분야 세계 1등입니다.
2.2. 한국인은 선크림 사용이 일상화되어 있으며, 외국인과의 사용량 차이가 큼.

한국에선 피부 노 아의 주범이 햇볕이 한 인식이 커서 여자든 남자든 밖에 나갈 땐 선 크림을 바르는 게 일상화 됐는데요 외국 은 그렇지 않은가. 봅니다.
한국인이 너무 많이 바르는 것인지 외국인이 너무 덜 바르는 것인지 헷갈리기도 하는데요 어쨌든 한국인이 선 크림에 있어서 만큼은 진심인 듯 하네요. 그래서 인지 한국은 선 크림도 잘 만듭니다.
2.3. 한국콜마는 선크림 분야에서 압도적인 경쟁력을 보임.

해외에서도 인기가 좋죠. 미국 온라인 쇼핑몰 아마존에선 한국 선 크림이 판매 1위를 휩쓸고 있을 정도입니다.
그런데 여기서 또 놀라운 부분이 있는데 이러한 한국의 선 크림을 거의 한 회사가 대부분 만들고 있다는 겁니다. 한국 콜 마란 회사입니다.
남의 화장품을 대신 만들어 주는 화장 상품 odm 업계에서 코스 맥스 함께 양대 산맥인 회 사죠 특히 선 크림 분야에서 압도 적인 경쟁력을 보이고 있습니다.
2.4. 한국콜마는 1990년 윤동환 회장이 설립한 최초의 화장품 ODM 회사임.

국 내 선 크림 시장 점유율이 7 80% 달할 정도 고요 한국 콜 마는 어떻게 이렇게 선 크림에 제왕이 됐을까요. 한국 콜 마는 윤 동환 회장이 1990년에 세운 한국 최초의 화장품 odm 회사입니다.
윤회장은 대응 제약을 다니다가 화장품 제조 분야에서 빠르게 외 주화가 진행될 것이란 판단을 하고 사업체를 꾸렸어요. 하지만 돈 돈도 기술도 없는 상황에서 화장품 제조를 한다는 건 어려운 일이었습니다.
2.5. 일본 콜마와의 협력을 통해 기술과 자금을 확보함.

그래서 손을 잡은 게 일본 콜 마 있죠. 원래 윤 동한 회장은 미국 콜 마에서 화장품 제조 기 술를 가져오려고 했습니다.
콜 마는 이름은 1921년 미국 위스 콘 신 미러 키에 세 어진 콜 마 연구소에서 시작됐고 일본 콜 마는 미국 콜 마의 일본 라이선스 사업을 하고 있는 곳이었어요. 하지만 미국 콜 마가 윤회장의 사업 제안을 거절했고 윤회장은 곧바로 일본으로 날아가서 일본 콜 마의 같은 제안을 합니다.
그리고 이 제안을 일본 콜 마가 받아들인 것이죠. 기술과 돈을 제공하기로 합니다.
2.6. 한국콜마는 화장품 제조 외에도 용기 제조와 제약 사업을 운영함.

그래서 회사 이름이 한국 콜 마가 됩니다. 일본 콜 마는 한국 콜 마 설립 초기에는 기술 교류를 많이 했지만요 지금은 단순 주주로 남아 있습니다.
현재 일본 콜 마는 한국 콜 마 집은 11.7% 보 유한 2대 주주요구 수익률 한국 콜 마가 온전히 사용하고 있고 미국이나 캐나다에서 한국 콜 마가 전부 쓰고 있습니다. 현재 한국 콜 마는 화장품 제조뿐 만 아니라 화장품 용기 제조 제약 사업도 함께 하고 있습니다.
2.7. 한국 본사에서 매출의 80%를 창출하며, 선크림 비중은 약 30%임.

용기 제조는 한국 콜 마의 자회사인 연우라는 회사가 제약 사업은 HK 이 노 엔이라 회사가 하고 있고요. 전체 매출 비중은 작년 상반기 기준으로 화장품 odm 54% 용기가 11% 제약이 35% 가량 됩니다.
2.8. 한국콜마의 주가는 선크림 주문에 따라 변동성이 큼.

여기서 화장품 odm 사업만 따로 떼어 놓고 보면 한국을 비롯해서 중국 미국 캐나다에서 생산을 하고 있는데 당연히 한국이 주력입니다. 매출 기준으론 80% 이익 기준으론 97% 한국 본사에서 창출하고 있습니다.
한국 본사의 매출에서 선 크림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30% 나머지 70% 가운데 50% n 스킨 케어 20% 메이크업이요 한국 콜 마가 지금처럼 선 크림 시장에서 압도 적인 지배력을 갖게 된 건 2020년 말의 한 사건에서 비롯됐습니다. 자 회선 차단 지수 spf 표기 방식 논란 때문 이었 spf 50 이상으로 표기를 해 놨는데 실제로는 30 미만으로 확인이 된 것이었어요.
spf 피부 표피층에 침투해서 홍 반 일광 화상 등을 일으키는 자회 선 비를 얼마나 차단해 주는지를 나타낸 것인데요. spf 15는 피부에 침투하는 자회선 비해 양이 1로 줄어든다는 의미입니다.
2.9. SPF 표기 논란으로 인해 한국콜마의 제품 신뢰도가 높아짐.

spf 50이면 1이 되 고요 허위 표기 논란이 붉어지면서 식품의약품 안전 처가 나서 서 검증을 했는데요 실제로 문제가 있는 게 드러났습니다. 그런 데 한국 콜 마가 만들어 준 제품은 spf 허위 표기가 단 한 건도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선 크림 브랜드 회사 입장에선 한국 콜 마와 우선적으로 거래를 해야 할 이유가 생긴 겁니다. 2011년 36% 수준이었던 선 크림 한국 시장 점유율이 2022년에는 59% 2023년엔 70% 작년에는 80% 계속 올라간 이유였어요.
2.10. 한국콜마의 시장 점유율은 2011년 36%에서 2023년 70%로 증가함.

한국 콜 마의 일감이 얼마나 많이 몰려 들었는지 본사 공장 가동률이 100% 넘어서 서 11 10% 아지 치솟습니다. 경쟁 사인 코스 맥스는 CNC 코스 메카의 공장 가동률이 30에서 70% 가량인 것을 감안하면 일감이 한국 콜 마 몰린 것입니다.
사실 가동률이 100% 넘는다는 건 비정상적인 것이죠. 한국 콜 마 주가도 선 크림 주문에 반응을 하고 있습니다.
2.11. 공장 가동률이 100%를 넘어서 비정상적인 상황임.

2013년부터 2023년까지 10년 간 주가 평균을 내보면 2 분기 확 치솟고 3 분기부터 내리막을 걷기 시작해서 4 분기에 최저치로 떨어지는 패턴이 반복됩니다. 투자자 입장에서 11월 쯤 주식을 사서 들고 있다가 이듬에 6월 쯤 팔면 된다는 인식이 생긴 겁니다.
한국 콜 마는 공장 가동률을 낮추고 증시에서 부정적인 인식도 부식하기 위해서 노력을 합니다. 미국의 선 크림 공장을 짓기로 했습니다.
사실 한국 콜 마는 미국 펜실 베이니 아의 2016년 인수한 공장이 이미 있었어요. 또 인근 캐나다에도 공장이 있고요.
하지만 기존 미국 공장은 색조를 하고 있고 캐나다 공장은 기초 화장품 위주로 만들고 있어요. 그래서 선 크림 전용 라인으로 하나 더 세우는 겁니다.
2.12. 미국에 선크림 전용 공장을 세우기로 결정함.

사실 일 결정이 쉽지만 않았어요. 미국 공장 가동률이 50% 밑돌고 있고 캐나다 공장은 이보다도 가동률이 더 좋지 않거든요.
하지만 선 크림 주 분이 워낙에 많고 이게 또 미국이나 북미에서 많이 판매가 되고 있어서 미국 전용 라인을 세우기로 한 거죠. 미국 선 크림 공장이 본격적으로 돌아가면 납품해야 할 물건의 생산 시간이 단축되어서 추가 주문이 들어올 수 있고요.
2.13. 미국 공장은 추가 주문을 유도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음.

물건 빨리 받고 싶어 하는 브랜드 입장에선 주문을 더 낼 수도 있죠. 또 한국 본사 공장을 다른 용도로 활용할 수도 있어서 고객 사를 늘리는 는데도 용이합니다.
입니다. 도 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관세 전쟁을 벌리고 있는데 여기에 대응하기도 좋습니다.
2.14. 한국 선크림은 미국에서 가장 많이 판매되고 있으며, 기능성 화장품 역할도 함.

미국에서 선 크림을 많이 파는 브랜드 입장에선 한국 콜 마의 미국 공장을 활용하면 추가 관세를 물지 않거든요 한국 콜 마가 선 크림을 더 많이 만든다고 해도 이게 다 팔릴 것인가는 의문도 있는데요 당장은 긍정적입니다. 지금 한국 선 크림을 가장 많이 사 주는 곳은 한국이 아니라 미국이 한국 선 크림은 자회 선 차단 기능뿐만 아니라 수분 공급 미백 보습 이런 기능성 화장품 역할까지 하고 있습니다.
2.15. 세계 선크림 시장은 2020년 77억 달러에서 2023년 115억 달러로 성장함.

그래서 기 기존의 선 크림을 잘 바르지 않았던 사람들까지 한국 선 크림을 사게 되는 효과도 있습니다. 시 장 규모를 점점 더 키우는 것이죠.
2.16. 한국콜마의 선크림 판매 증가로 시장 규모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됨.

실제로 세계 선 크림 시장 규모는 2020년 77억 달러에서 4년 만인 작년에 115억 달러로 50% 성장을 합니다. 이 기간 동안 코로나 사태가 있었지만 이걸 감안해도 빠르게 성장하는 시장은 확실한 것 같아요.
한국 콜 마가 미국에서 생산한 선 크림이 얼마나 많이 팔릴지 눈여겨 보시죠. p [ 음악].
3. 영상정보
- 채널명: 한경 코리아마켓
- 팔로워 수: 467,000
- 좋아요 수: 173
- 조회수: 6,391
- 업로드 날짜: 2025-03-01
- 영상 길이: 7분 15초
- 다시보기: https://www.youtube.com/watch?v=gB-uNxHoIj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