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논란의 대한항공 리브랜딩
한줄요약: 논란의 대한항공 리브랜딩
시간 | 요약 |
---|---|
00:02 | 대한항공이 41년 만에 C 코퍼릿 아이덴티티를 교체함. |
00:18 | 앞으로의 변화에 대한 기대감이 존재함. |
00:40 | 기존 태극 문양 로고는 오랜 시간 사랑받아왔음. |
00:48 | 랜드 컨설팅 회사가 비주얼 아이덴티티 디자인을 맡음. |
01:03 | 항공사 리브랜딩 경험이 많은 회사가 선정됨. |
01:17 | 디자인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외형을 고려함. |
01:32 | 미니멀리즘 디자인이 글로벌 트렌드로 자리잡음. |
01:49 | 태극 마크의 색상을 단색으로 단순화함. |
02:02 | 인스타그램에서 기존과 신규 로고 비교 가능함. |
02:50 | 꼬리 부분의 태극 마크가 답답해 보인다는 비판 있음. |
03:17 | 새로운 로고에 대한 초기 반응은 당황스러움이었음. |
03:34 | 시간이 지나면서 디자인이 세련되게 느껴짐. |
04:34 | 브랜드 이미지 유지와 발전이 중요함. |
2. 스크립트
아시아나 항공과 통합 출범에 나서는 대한항공이 41년 만에 C 코퍼릿 아이덴티티를 교체했습니다.2.1. 대한항공이 41년 만에 C 코퍼릿 아이덴티티를 교체함.

특히 고유의 태극 마크를 현대적인 이미지로 구현했는데, 아래의 로고가 위의 이미지로 바뀐 것입니다. 하지만 그동안 국내는 물론 글로벌 고객들로부터 한국을 대표하는 태극 문양의 로고는 극찬을 받아왔기 때문에 이번 변화에 대한 반응은 좋지 않았습니다.
2.2. 앞으로의 변화에 대한 기대감이 존재함.

분들이 여행을 생각하면 대한항공의 태극 마크를 함께 떠올릴 정도로 오랜 시간 사랑받아왔습니다. 새로 디자인된 로고는 기존 태극의 정성을 유지하면서 현대적인 태로 변화를 추구한 결과입니다. 랜드 컨설팅 및 디자인 회사로 비주얼 아이덴티티와 고객 경험 공간 디자인까지 통합 솔루션을 제공하죠.
2.3. 기존 태극 문양 로고는 오랜 시간 사랑받아왔음.

대표적인 클라이언트로는 스타벅스, 올마트 등이 있는데, 특히 델타, 사우스웨스트 에어라인 등 항공사의 리브랜딩 경험이 많습니다.
2.4. 랜드 컨설팅 회사가 비주얼 아이덴티티 디자인을 맡음.

이 점이 대한항공으로 리핑 코트를 선정한 이유 중 가장 컸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항공기라는 특유의 규모와 외형을 고려해야 하는 디자인 및 항공사의 수많은 에셋들을 함께 살펴봐야 하기 때문에 리스크를 줄일 필요가 있었겠습니다.
2.5. 항공사 리브랜딩 경험이 많은 회사가 선정됨.

다만 다소 염려가 되었던 것은 태극 마크의 고유성을 어떻게 이해하고 수정할까 하는 점이었습니다.
2.6. 디자인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외형을 고려함.

봄바디어 예처럼 최근 그들의 작품이 미니멀리즘으로 수렴하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사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모든 브랜드들이 미니멀리즘을 택하고 있는 것은 뚜렷한 현상인데, 이는 디지털 최적화를 위해서이기도 하죠.
2.7. 미니멀리즘 디자인이 글로벌 트렌드로 자리잡음.

손안에 작은 모바일 속 SNS 상에서 가독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단순한 디자인이 필요합니다. 인스타그램에서 기존의 로고와 신규 로고를 비교해 보면 확실히 그 차이를 느낄 수 있습니다. Unique and much more sophisticated was actually to subtract one of the things.
2.8. 태극 마크의 색상을 단색으로 단순화함.

We noticed was that there was a very beautiful motion run inside the of the.
2.9. 인스타그램에서 기존과 신규 로고 비교 가능함.

Which was to take elements, take visual congestion to just movement. And that 리핑 코트가 덜러 내기를 할 것은 기정 사실이었지만, 대한민국의 정체성을 담고 있는 색상을 뺀 것이 다소 아쉽습니다. 이는 해외 에이전시 선정에 대한 비난으로 이어지기도 했습니다. 이외에도 옆면에 박혀 있던 글자 '코리안 에어'에서 '에어'가 갑자기 빠지고 '코리아'만 남은 부분 및 꼬리 부분의 태극 마크가 너무 꽉 차서 답답해 보인다는 등 기본적으로 이번 리브랜딩에 대해 부정적인 평이 우세한 상황입니다.
특히 루프트 한자나 카엠 항공사의 디자인과 구분이 안 된다는 혹평도 있었어요. 그럼 전문가의 의견을 듣고자 글로벌 탑 에이전시 중 하나인 사치앤사치 뉴욕에서 근무 중인 한 크리에이터의 소감을 들어보죠.
2.10. 꼬리 부분의 태극 마크가 답답해 보인다는 비판 있음.

대한항공의 새로운 로고를 봤을 땐 솔직히 처음에 많이 당황했습니다. 워낙 오랫동안 봐왔던 로고가 갑자기 단순해지고, 그것도 미니멀하게 확 바뀌니까 처음엔 낯설고 허전한 느낌이 들었거든요. 특히 비행기 기체 사진을 봤을 때 '코리안 에어'에서 '에어'라는 단어가 빠지니까 뭔가 비어 보이는 느낌이었습니다. 익숙한 요소들이 사라진 게 조금 아쉽기도 했고요.
2.11. 새로운 로고에 대한 초기 반응은 당황스러움이었음.

하지만 시간이 지나고 계속 보다 보니까 점점 깔끔해 보이고 세련되게 느껴졌습니다. 흔히 말하는 웨이징 a 영역 같아요.
2.12. 시간이 지나면서 디자인이 세련되게 느껴짐.

보면 볼수록 정리가 잘된 디자인이라고 생각이 들더라고요. 사실 글로벌 항공업계가 전반적으로 미니멀리즘 디자인으로 가고 있잖아요. 대표적으로 델타 항공은 기존 로고에 복잡한 음영을 없애고 단순한 삼각형 위젯 형태로 정리했고, 아메리칸 항공 역시 전통적인 AA 로고 대신 깔끔한 독수리 실루엣과 미니멀한 글자체를 채택하면서 현대적인 느낌을 강조했습니다. 대한항공도 이번에 아시아나 항공과의 합병을 계기로 브랜드를 재정비하면서 글로벌 트렌드를 반영한 것 같아요.
특히 태극 마크에 빨간과일 컬러를 빼고 단색과 라인 형태로 단순화한 것도 미니멀리즘 트렌드를 고려한 부분이라 볼 수 있습니다. 다만 변화와 유지 사이에서 아쉬운 부분이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한국에서 이렇게 오랫동안 사랑받은 브랜드가 갑자기 로고를 바꾼다는 게 쉬운 일은 아니잖아요.
그리고 이 정도로 화제가 되고 있다는 것 자체가 대한항공이라는 브랜드가 얼마나 막강한 파급력을 갖고 있는지 보여주는 것 같아요.
2.13. 브랜드 이미지 유지와 발전이 중요함.

결국 로고 자체의 디자인보다 중요한 건 앞으로 대한항공이 어떤 서비스와 브랜드 경험으로 이 정체성을 채워 가느냐입니다. 브랜드 이미지를 제대로 유지하고 발전시킨다면 사람들도 자연스럽게 새로운 로고에 익숙해질 것이고, 결국 긍정적인 평가로 이어질 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저도 앞으로 대한항공이 어떤 모습을 보여줄지 기대가 됩니다..
3. 영상정보
- 채널명: WLDO
- 팔로워 수: 485,000
- 좋아요 수: 128
- 조회수: 2,559
- 업로드 날짜: 2025-03-15
- 영상 길이: 5분 2초
- 다시보기: https://www.youtube.com/watch?v=jLqOsKRvjJ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