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가 의식과 감정을 느낄 수 없는 이유와 철학적 좀비의 문제

AI가 의식과 감정을 느낄 수 없는 이유와 철학적 좀비의 문제

1. 🤖AI가 의식과 감정을 절대 느낄 수 없는 이유ㅣ철학적 좀비의 문제

한줄요약: AI가 의식과 감정을 느낄 수 없는 이유와 철학적 좀비의 문제
*타임라인을 클릭하면 이동/재생됩니다.
시간 요약
00:01 로봇 데이빗은 시를 암송하며 눈물을 흘림. 감정을 느끼는 것인지 의문이 생김.
01:01 철학자 데이비드 차머스는 감각질의 부재를 문제로 지적함. 감정적 행동과 내면의 공허함이 대비됨.
02:02 몽유병 환자는 의식 없이 행동할 수 있음. 이는 인간의 무의식적 행동을 보여줌.
03:04 '맹시' 현상은 시각 정보 인식이 가능함을 나타냄. 감각질이 없어도 반응할 수 있음.
05:47 인간의 존재 감각이 없을 수도 있음. 철학적 좀비의 가능성을 제기함.
06:50 의식의 본질을 따져야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 인간과 기계의 경계가 모호해짐.
07:18 SF영화들은 AI가 감정을 느낀다고 주장함. 그러나 AI는 의식이 없을 가능성이 있음.
07:32 대니얼 힐리스는 AI가 의식을 가질 수 있다고 주장함. 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이어짐.
08:04 '계산주의'는 인간의 의식을 기계로 환원하려는 주장임. 사고실험을 통해 탐구됨.
09:19 삼체 컴퓨터는 인간의 컴퓨터와 다른 방식으로 설계됨. 그러나 처리 능력은 유사함.
10:48 알고리즘과 의식의 관계에 대한 의문이 제기됨. 감정이 생성될 수 있는지 탐구함.
11:32 의식을 가진 컴퓨터의 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이어짐. 물리적 특성이 필요할 수 있음.
12:16 AI가 의식을 가질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질문이 남음. 영화 매트릭스가 중요한 단서가 됨.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2. 스크립트

로봇인 데이빗은 퍼시 비시 셜리의 시를 암송하며 눈물을 흘립니다 이 낭만주의 로봇은 느끼고 있는 것일까요? 크리에이터도 그렇고 대부분의 SF영화들은 감정을 느낄 수 있다 이야기를 합니다 간단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느끼지 못


2.1. 로봇 데이빗은 시를 암송하며 눈물을 흘림. 감정을 느끼는 것인지 의문이 생김.

로봇 데이빗은 시를 암송하며 눈물을 흘림. 감정을 느끼는 것인지 의문이 생김.
Fig.1 - 로봇 데이빗은 시를 암송하며 눈물을 흘림. 감정을 느끼는 것인지 의문이 생김.

할 지도 모릅니다 아무 것도 느끼지 못 합니다 합니다 모사할 수 있는 지능은 있지만 의식이 없기 때문입니다 철학자 데이비드 차머스는 문제라고 불렀습니다 예를 들어 이 알피는 구별이 불가능할 정도로 감정적이며 심지어

눈물까지 흘립니다 그럼에도 이 알피의 내면은 텅 비어 있을 수 있습니다 고유감각도 못 느끼고 전혀 없을 수 있다는 거죠 이는 그에게 라고 말할수 있습니다 감각질이란 주관적 경험 그 자체를 가리킵니다 나라는


2.2. 철학자 데이비드 차머스는 감각질의 부재를 문제로 지적함. 감정적 행동과 내면의 공허함이 대비됨.

철학자 데이비드 차머스는 감각질의 부재를 문제로 지적함. 감정적 행동과 내면의 공허함이 대비됨.
Fig.2 - 철학자 데이비드 차머스는 감각질의 부재를 문제로 지적함. 감정적 행동과 내면의 공허함이 대비됨.

느낌 그 자체가 볼 수 있겠죠 인간 못지 않게 지능적으로 생각하고 행동하는 것 같지만 감각질 또는 영혼이 없는 있을 가능성이 있다 철학적 좀비입니다 뭔가 공상적인 내용 같지만 우리 주변에서도 찾아볼 수

있습니다 몽유병이 있죠 돌아다니는 것을 연상하지만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의식이 없는 상태에서 다른 사람과 대화를 하거나 컴퓨터를 이용하기도 합니다 몽유병 환자가 아니라도 부분적으로 경험할 수 있습니다 운전을 하는 사람들은 클러치를 밟고


2.3. 몽유병 환자는 의식 없이 행동할 수 있음. 이는 인간의 무의식적 행동을 보여줌.

몽유병 환자는 의식 없이 행동할 수 있음. 이는 인간의 무의식적 행동을 보여줌.
Fig.3 - 몽유병 환자는 의식 없이 행동할 수 있음. 이는 인간의 무의식적 행동을 보여줌.

단을 바꾸는데도 의식을 하지 않습니다 아주 복잡한 곡을 연주할 때 의식하지는 않을 것입니다 문제들의 대한 해답을 갑자기 깨달았다 이렇게 이야기를 합니다 다양한 생각과 행동들을 수행하는 경우가 꽤 많습니다 내리는데는 무의식적 판단이

더 낫다 이런 연구결과까지 있죠 '맹시'라고 불리는 현상이 있습니다 '눈이 멀었는데 본다'는 뜻입니다 느끼지 못 하는데도 시각정보를 인식을 한다는 것인데요 이는 시각피질이 손상되어서 감각질은 사라졌지만 파충류의 뇌라고도 불리는 뇌간을 통해서 있기


2.4. '맹시' 현상은 시각 정보 인식이 가능함을 나타냄. 감각질이 없어도 반응할 수 있음.

'맹시' 현상은 시각 정보 인식이 가능함을 나타냄. 감각질이 없어도 반응할 수 있음.
Fig.4 - '맹시' 현상은 시각 정보 인식이 가능함을 나타냄. 감각질이 없어도 반응할 수 있음.

때문입니다 형상이나 색채 같은 전혀 느끼지 못 하지만 어디에 있는지 인식을 하며 한다고 합니다 그런데 흥미로운 점은 개구리 같은 동물들도 시각을 처리한다는 것입니다 출생 후 몇 달 안 된 아이들도 성숙이

안 되었기 때문에 가능성이 있습니다 즉 도마뱀 개구리 갓난아이가 내 몸짓에 반응을 보이더라도 보지 못 하고 있을 수도 있다는 거죠 우리는 이 맹시와 같은 현상을 적용해 볼 수 있습니다 청각 정보는

인식하는 경우 촉각 정보는 인식하는 경우 내가 존재한다는 감각조차 없지만 인간처럼 생각하고 말하고 있을 지도 모릅니다 수많은 인간들 중에서 철학적 좀비가 절대 없다고 우리는 확신할 수 있을까요? 우리는 확인할 방법이 없습니다

공각기동대에 나오는 것처럼 탐지하는 기술이 발명되지 않는 한 불가능한 일이죠 신경과학자인 니컬러스 험프리는 이런 주장을 합니다 의식이 있는 건 아닐 수도 있다 의식은 날개와도 같은 것입니다 운좋게 날개를 얻었습니다 날개가 없죠

마찬가지라는 겁니다 험프리 교수에 따르면 의식은 온혈동물에게만 있는 것 같다고 합니다 그러니까 우리는 뜯어먹히는 걸 보면서 엄청난 고통을 상상하지만 느끼지 않고 있을 수도 있다는 거죠 가설일 뿐인데요 밀어붙인 이야기로 SF소설이 있습니다


2.5. 인간의 존재 감각이 없을 수도 있음. 철학적 좀비의 가능성을 제기함.

인간의 존재 감각이 없을 수도 있음. 철학적 좀비의 가능성을 제기함.
Fig.5 - 인간의 존재 감각이 없을 수도 있음. 철학적 좀비의 가능성을 제기함.

앞서 보았듯이 맹시를 가리킵니다 다른 성계에서 날라온 외계인들이 등장하는데요 철학적 좀비들입니다 의식이 없기 때문에 인간의 지능을 압도합니다 진화과정의 최종승자는 지능적인 생물들이 될 수도 있다는 가설을 내놓습니다 꼭 생물일 필요는 없겠죠 AI가

될 수도 있습니다 정말로 철학적 좀비들이 과연 어떻게 될까요? 채워진 세상에 있다고 볼 수 있을까요? 생물 이야기만 한창 했습니다 생물 자체를 놓고 보아도 그렇게 간단하지가 않습니다 문제를 다루기 위해서는 의식의 본질을


2.6. 의식의 본질을 따져야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 인간과 기계의 경계가 모호해짐.

의식의 본질을 따져야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 인간과 기계의 경계가 모호해짐.
Fig.6 - 의식의 본질을 따져야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 인간과 기계의 경계가 모호해짐.

따져볼 수 밖에 없습니다 가능성을 따져보는 것은 본질을 따져보는 일과 없기 때문입니다 인간의 거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시선을 고정시키지만 궁금한 것은 이것이죠 인간도 기계의 일종인가? 많은 SF영화들이 말합니다 AI도 정보의 바다


2.7. SF영화들은 AI가 감정을 느낀다고 주장함. 그러나 AI는 의식이 없을 가능성이 있음.

SF영화들은 AI가 감정을 느낀다고 주장함. 그러나 AI는 의식이 없을 가능성이 있음.
Fig.7 - SF영화들은 AI가 감정을 느낀다고 주장함. 그러나 AI는 의식이 없을 가능성이 있음.

속에서 가지게 될 것이라고 말이죠 대니얼 힐리스는 의식을 갖고 있다고 주장합니다 가질 수 있다면 불가능은 아니겠죠 결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고 가능할지 모릅니다 이렇게 인간의 의식을 환원시키려고 하는 주장들을 '계산주의'라고 부릅니다 계산주의에


2.8. 대니얼 힐리스는 AI가 의식을 가질 수 있다고 주장함. 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이어짐.

대니얼 힐리스는 AI가 의식을 가질 수 있다고 주장함. 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이어짐.
Fig.8 - 대니얼 힐리스는 AI가 의식을 가질 수 있다고 주장함. 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이어짐.

대해서 사람들도 많습니다 더 자세히 다뤄볼 예정이지만 사고실험을 해보겠습니다 '삼체'를 보게 되면 외계인이 나옵니다 컴퓨터를 만들때 트랜지스터 반도체를 이용하지 않았습니다 부품으로 이용하기로 했죠 우리 지구인들은 'AND 게이트'를 만들기 위해서 트랜지스터 2개를


2.9. '계산주의'는 인간의 의식을 기계로 환원하려는 주장임. 사고실험을 통해 탐구됨.

'계산주의'는 인간의 의식을 기계로 환원하려는 주장임. 사고실험을 통해 탐구됨.
Fig.9 - '계산주의'는 인간의 의식을 기계로 환원하려는 주장임. 사고실험을 통해 탐구됨.

이용합니다 병사 3명을 한 팀으로 짜고 적색과 백색 깃발을 들게 해서 만들었습니다 이런 식으로 외계인들은 NAND 게이트 NOR 게이트 등 병사들을 이용해서 만들었습니다 3천만명 이상의 병사들을 동원하여 하드 드라이브 등을 모두

갖춘 거대한 컴퓨터를 만들어 냅니다 그 자리에서 즉결처형하여 철저하게 관리하였는데요 우리가 쓰는 반도체 컴퓨터보다 어마어마한 공간을 차지합니다 하지만 이런 삼체 컴퓨터도 반도체 컴퓨터가 처리할 수 있는 처리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삼체 컴퓨터


2.10. 삼체 컴퓨터는 인간의 컴퓨터와 다른 방식으로 설계됨. 그러나 처리 능력은 유사함.

삼체 컴퓨터는 인간의 컴퓨터와 다른 방식으로 설계됨. 그러나 처리 능력은 유사함.
Fig.10 - 삼체 컴퓨터는 인간의 컴퓨터와 다른 방식으로 설계됨. 그러나 처리 능력은 유사함.

모두 '보편튜링머신' 개념에 기반하여 설계된 것이기 때문입니다 처리하는 것이 가능한 보편튜링머신은 하드웨어로 만드는 것이 가능합니다 심지어 휴지로도 만들 수 있죠 처음 생각했던 튜링머신은 시스템이었습니다 휴지와 종이테이프 어떤 하드웨어를 쓰건 간에 메카니즘은

모두 똑같습니다 휴지 컴퓨터도 모든 종류의 알고리즘을 있다는 것입니다 이 얘기는 곧 알고리즘 정보를 가능하다면 마찬가지로 삼체 컴퓨터에도 가능하다는 얘기죠 생각을 해볼 수 밖에 없습니다 또는 휴지 컴퓨터에도 정말 의식이 깃들

수 있을까? 받아들이기가 쉽지 않습니다 어떤 규칙을 가지고 올렸다 내렸다를 반복하는 하고 있는 곳에서 감정을 가진 의식 즉 감각질이 생성될 수 있을까요? 의식을 가질 수 있다 이런 이야기처럼 들립니다 이해하기가 쉽지


2.11. 알고리즘과 의식의 관계에 대한 의문이 제기됨. 감정이 생성될 수 있는지 탐구함.

알고리즘과 의식의 관계에 대한 의문이 제기됨. 감정이 생성될 수 있는지 탐구함.
Fig.11 - 알고리즘과 의식의 관계에 대한 의문이 제기됨. 감정이 생성될 수 있는지 탐구함.

않죠 의식을 가질 수 있다는 가정은 받아들일 수 있는데 말입니다 결국 본질적인 문제는 생성해 낼 수 있느냐 하는 것입니다 가능하다고 주장합니다 생각해 보면 간단해 보이지 않습니다 컴퓨터에 의식이 생성되려면 뭔가 부족해

보입니다 더 필요한 것 같다는 것이죠 그것은 알고리즘을 처리하는 물리적 특성일 수도 있습니다 영혼 같은게 필요한 것일 수도 있겠죠 계산주의를 믿지 않았을 것입니다 인간과 구별할 수 없을 정도로 인간적인 데이빗을 만들기는


2.12. 의식을 가진 컴퓨터의 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이어짐. 물리적 특성이 필요할 수 있음.

의식을 가진 컴퓨터의 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이어짐. 물리적 특성이 필요할 수 있음.
Fig.12 - 의식을 가진 컴퓨터의 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이어짐. 물리적 특성이 필요할 수 있음.

했지만 주저없이 단언합니다 만약 웨일랜드가 진짜로 믿었다면 컴퓨터에 업로드하여 불멸을 얻으려 했을 것입니다 불가능하다고 생각했던 것이고 그래서 또다른 답을 찾아서 여행을 떠난 것이겠죠 그럼 AI는 어떻게 해야 가질 수 있게 될까요?


2.13. AI가 의식을 가질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질문이 남음. 영화 매트릭스가 중요한 단서가 됨.

AI가 의식을 가질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질문이 남음. 영화 매트릭스가 중요한 단서가 됨.
Fig.13 - AI가 의식을 가질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질문이 남음. 영화 매트릭스가 중요한 단서가 됨.

파고 들어간 영화가 있습니다 바로 매트릭스 3부작이죠 이미 5개나 만들었었는데요 진짜 중요한 부분이 남아 있습니다 이 영화의 궁극의 수수께끼에 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3. 영상정보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댓글 쓰기

다음 이전